14980 |
|
초음파...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유방초음파검사시 왜 갑상선 초음파검사를 봐주는지 궁금하시군요
저희 병원에서는 유방검사를 하는 초음파 촉지자(probe)와 갑상선을 보는 촉지자가 같아서 유방검사를 하면서 갑상선 검사도 무료로 함께 봐드리고 있습니다. 평소에 모르던 갑상선 종양이 많이 발견되고 있구요.
갑상선암은 예후가 좋아 종양이 1cm이상 크기 전에는 조직검사를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갑상선 암이 증가하므로 검사를 해 드려서 해 될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본인이 원하지 않으시면 갑상선 검사를 받지 않으셔도 되구요.
섬유선종과 엽상종양은 또 다른 질문이시구요. 조직검사상 구분이 가냐구요? 조직검사 중 종양의 모두를 제거하는 외과적 수술이나 맘모톰 수술로 모두 제거하면 당연히 구분이 잘 갑니다. 하지만 바늘총조직검사나 세포검사상에서는 100% 구분이 힘들 수 있습니다. 간단한 조직검사상 섬유선종으로 진단되었다고 해도 종양의 크기가 큰 경우 모두 제거수술을 하면 엽상종양으로 진단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13-05-25 |
14979 |
|
낭종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유망에 만져지는 종괴가 있어서 초음파검사를 받으셨고 낭종이라는 진단을 받으셨군요. 낭종은 물주머니를 말하며 암의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드물게 낭종이라고 생각한 것이 점액성 종양이거나 고형종괴일 수 있어서 추적검사는 필요하지만 조직검사를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크기가 커지거나 만져지고 통증이 있는 경우 <세침흡인술>을 하여 내부이 물을 빼내는 시술 및 세포검사를 할 수는 있습니다. 양성 종양-바로가기
종괴는 물주머니가 아닌 단단한 종양을 말합니다. 이 종괴 또한 대부분은 양성종양이고 드물게 암일 수 있습니다. 낭종보다는 암의 가능성이 높답니다. 감사합니다.
|
권** |
|
2013-05-25 |
14978 |
|
유방선증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44세 여성이시고 유방진료상 모양이 변하는 0.7cm의 종양이 진단되어 <세침흡인술>을 받으셨고 선증으로 진단되셨구요 맘모톰 수술로 종양을 제거하거나 6개월 후에 추적검사를 하거나 선택하라고 권유 받으셨군요.
선증 adenosis는 암의 고위험병변은 아닙니다. 하지만 <세침흡인술> 자체가 정확도가 높은 검사는 아니므로 종양의 모양이 변하는 경우 맘모톰 수술로 제거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새침흡인술-바로가기
맘모톰 수술의 선택-바로가기
맘모톰 비용은 105만원 이상이며 종양의 크기와 갯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13-05-25 |
14977 |
|
가슴의 몽우리랑 통증이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0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시고 아프시군요. 유방에는 당연히 만져지는 유방조직이 있습니다. 아무 것도 만져지지 않는다면 유방조직이 모두 지방으로 변한 경우입니다. 양쪽 유방의 멍울이 대칭으로 만져지신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구요. 만약 한 쪽 유방에서만 멍울이 만져지시고 아프다면 종양이 있는지 유방진료로 확인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유방진료과정-바로가기
감사합니다.
|
김** |
|
2013-05-24 |
14976 |
|
조직검사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0세 여성이시고 3mm의 에쁜 종양을 진단 받으셨고 6개월 추적검사를 권유 받으셨군요. 종양의 모양이 예뻐도 안심할 수 없어서 조직검사를 할까 고민이시구요
3mm의 종양도 조직검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양이 예쁜 종양이라면 암의 가능성은 적고 또 암이라고 해도 6개월 후에 크게 커지지 않으므로 의사 입장에서는 조직검사를 꼭 하라고 권하기 어렵습니다. 예쁜 종양의 경우 만져지거나 2cm이상이라면 조직검사를 권유하고 종양이 자라는 경우 아주 작아도 조직검사를 권유 한답니다. 또 가족력이 있는 분이라면 조직검사를 권할수 있습니다.
모양이 예뻐도 조직검사를 하여 암으로 나올 수는 있습니다. 너무 걱정되시면 <바늘총조직검사>로 조직검사를 하시면 되구요. 아니면 담당 선생님 말씀 대로 6개월 후 초음파검사를 하시면 됩니다. 2년 간 종양의 크기와 모양이 변화가 없다면 100%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바늘총조직검사-바로가기
감사합니다.
|
유** |
|
2013-05-24 |
14975 |
|
산부인과vs영상의학과(방사선과)vs유방외과(유의원,유클리닉)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8세 여성이시고 유방진료를 원하시는군요.
산부인과 외과 그리고 영상의학과 증 어디에서 진료를 받으셔야 하는지 궁금하시구요 산부인과는 자궁, 난소 분만등을 위주로 레지던트 때 훈련은 받습니다. 유방초음파검사나 유방촬영술은 배우지 않습니다. 외과는 주로 수술에 대해 훈련을 받습니다. 물론 유방의 모든 종양에 대해 수술을 하지만 유방초음파검사와 유방촬영술은 영상의학과 의사가 모두 검사하여 진단을 하게 됩니다. 외과의사가 유방클리닉을 내는 경우 주로 유외과 등 외과 라는 간판이 걸리게 됩니다. 외과 의사들은 유방초음파검사와 유방촬영술을 레지던트 기간에 배우지 못하였으므로 전문의가 된 후 세미나 등을 통해 늦게 배오게 됩니다.
영상의학과가 유방을 진료 하는 경우 유 의원 여성의원, 또는 유 클리닉이라고 간판을 걸게 됩니다. 주로 레지던트 때 유방초음파 유방촬영술 등을 공부하게 됩니다. 하지만 영성의학과 간판이 걸렸다고 모두 유방전문은 아닙니다.
예를 들면 영상의학과 수련을 받은 후 거의 20년 동안 유방 전문 강사 등 유방진단 만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영상의학과를 수련하였더라도 유방 파트는 2-3개월만 수련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유방만을 전문으로 하는 영상의학과(유 의원, 유 클리닉) 가 가장 전문성이 높고 그 다음은 영상의학과, 그 다음이 유방진단 만을 하는 외과( 유 외과) 그 다음이 산부인과 순일 것 같습니다.
하지만 레지던트 때 수련을 받지 못하였어도 그 후에 유방초음파나 유방촬영술에 대해 오래 수련을 받았다는 전문성이 있는 의사라면 과에 상관없이 가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
채** |
|
2013-05-24 |
14974 |
|
맘모톰후 결과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40세 여성이시고 타원에서 맘모톰 수술을 받으셨는데 수술 전 조직검사 결과와 맘모톰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가 달라서 당황하셨군요.
맘모톰후 오른쪽 결과 : 섬유선종,섬유낭종, 경화성 선증, 유두종, 비정형 세포 동반된 원주형 세포변화라는 양성 증식성 병변 왼쪽결과 : 섬유선종, 섬유낭종, 경화성 선증, 비정형 세포 동반된 원주형 세포변화 라는 양성 증식성 병변
유두종과 비정형 세포가 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하던데 이런경우 외곽적 수술을 다시 받아야 하는건지 아니면 정기적인 검진를 하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한개의 종양에서 5개의 소견이 보이니 당황스럽고 혹시나 암에 걸릴까 하는 두려움이 밀려옵니다.
우선 한 종양에서 5개의 소견이 보이는 것은 이상한 소견은 아닙니다. 현미경을 보면 한개의 종양이라고 단 한개의 조직소견이 보이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의 병명이 공존할 수 있답니다. 암에서도 주위에는 양성 소갼이 함께 잇을 수 있구요.
위의 소견 중에 비정형세포증식증 이 문제인데요. 아시는 것처럼 <비정형세포증식증 Atypical ductal hyperplasia>은 암의 고휘험병변이고 암의 정구단계입니다. 수술했을 때 암을 동반할 가능성도 30-70% 정도나 됩니다. 다행히도 수술 후 암동반 소견이 없었으니 문제 없으시구요..
종양의 모양이 안좋았거나 종양을 모두 충분히 제거하지 않으셨다면 추가적인 외과수술로 주위 정상조직까지 떼어내서 정확한 현미경 검사를 하시는 것이 좋구요. 종양의 모양이 좋고 종양을 충분히 제거수술하셨다면 담당 선생님 말씀대로 6개월 마다 추적검사를 하시는 것이 옳습니다.
또 수술 전에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에도 종양을 모두 제거했을 때 비정형세포증식증이나 더 심하게 암이 일부 포함될 가능성은 언제나 있으므로 담당 선생님의 진료가 잘못된 것은 절대 아니랍니다.
담당 선생님께 신뢰를 가지고 상담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13-05-23 |
14973 |
|
유방혹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유관증식증과 비정형유관증식증의 차이가 궁금하시군요 유관세포증식증 Ductal elithelial hyperplasia , 비정형 유관세포증식증 Atypical ductal epithelial hyperpalsia 모두 유관세포 즉 유방의 젖이 나오는 관, 의 세포가 증식된 것은 똑같습니다.
하지만 유관세포증식증은 양성으로 분류되고 암의 위험도가 높지 않습니다.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생동안 암의 위험이 일번인에 비해 1.2배 -1.5배 정도 높을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비정형 유관증식증은 세포가 증식되었을 뿐 아니라 세포의 모양이 비정형으로 변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암은 아니지만 암 전구단계로 수술이 필요하고 수술시 암을 동반할 가능성도 30-70% 입니다. 또 수술을 하여 암이 아닌 비정형세포증식증으로 진단되더라도 앞으로의 암의 위험도가 1.5배 이상으로 높아진답니다.
유관증식증 ductal pithelial hyplerplasia만 진단되었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고 모두 제거하셨다면 정기검진을 하시면 되고 조직검사를 하시고 종양이 그대로 있다면 종양의 모양이나 크기에 따라 담당 선생님의 지침을 따르시면 됩니다. 모양이 좋지 ㅇ낳다면 수술이 필요하고 모양이 좋다면 6개월 마다 추적검사를 권하실 겁니다. 하지만 저는 진료를 하지 않아 정확한 상담은 불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궁** |
|
2013-05-23 |
14972 |
|
유방초음파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유방초음파검사만 하시고 싶다구요
네 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방촬영술 에서만 진단되는 0기암 즉 석회화소견은 유방초음파검사에서 나타나지 않으므로 의사가 0기암을 놓칠 수 있다는 것은 아시고 하셔야 합니다. 0기암은 드물므로 그냥 초음파검사만을 원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후에 0기암 을 놓쳐서 문제되는 법적인 책임은 지지 않습니다.
유방촬영술-바로가기
유방초음파검사-바로가기
참고로 정희 병원에서는 20-30대 여성이 오시는 경우 유방촬영술은 40세 이전에 1회만 촬영하고 있으며 방사선량을 반으로 줄여 촬영하고 있습니다. 최소한의 방사선량으로 0기암을 진단 하고 있습니다. 유방진료과정-바로가기
감사합니다.
|
남** |
|
2013-05-23 |
14971 |
|
유방촬영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8세 여성이시고 유방진료 시 유방촬영술검사가 방사선 조사가 많이 될까 걱정이 크시군요.
유방촬영술의 방사선 조사량은 방사선 치료때외는 다르게 조금밖에 나오지 않으니 걱정하지 마시구요 20대 여성에서는 방사선량을 줄여서 촬영할 수 있습니다.
또 한번만 찍고 다음부터는 찍지 않으셔도 되니 걱정하지 마시구요 물론 유방촬영술을 해야 0기암 을 진단할 수 있으나 너무 걱정이 된다면 유방촬영술은 하지 마시고 유방초음파검사만 하실 수도 있답니다. 단지 이런 경우 0기암에서 보이는 석회화소견은 놓칠 수 있습니다. 유방촬영술-바로가기
유방진료과정-바로가기
그리고 유방촬영술 검사 전이나 후에 하셔야 할 일은 전혀 없습니다. 방사선 치룔르 받으시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검사입니다. 감사합니다.
|
송** |
|
2013-05-22 |
14970 |
|
피부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고 피부가 함몰되어 유방초음파검사를 하셨고 암이 아니라고 하셨군요.
그럼 유방에 종양은 진단된 건지요? 종양이 있고 피부가 함몰되었다면 혹시 모르니 조직검사로 암여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바늘총조직검사-바로가기
유방에 종양이 없다면 피부함몰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피부과에서 진료 받아보시고 너무 걱정되면 대학병원에 가셔서 진료 받으셔도 됩니다.
유방촬영술에서만 진단되는 석회화소견 0기암 소견이 있기는 하는데 이 때는 피부함몰이 거의 나타나지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민** |
|
2013-05-22 |
14969 |
|
문의합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유방에 종양을 진단 받아 조직검사 결과 섬유선종으로 진단 받으셨군요
섬유선종이 작고 모양도 예뻤다면 수술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종양의 모양이 좋지 않거나 2cm 이상의 종양이라면 수술을 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물론 맘모톰 수술로 제거하여 암으로 진단되는 예도 드물게 있습니다만... 총조직검사 결과가 99.9% 정확하니 너무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지금 본인의 상태를 가장 잘 아는 분은 진료를 하신 선생님입니다. 다른 병원에 가시면 다시 검사를 받으셔야 하구요. 수술이 꼭 필요한지는 담당 선생님께 상담 받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맘모톰 수술의 선택-바로가기
유방암 검사는 유방촬영술 초음파검사 그리고 조직검사가 기본입니다. 그 외의 검사는 암이 아닌 이상 필요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13-05-22 |
14968 |
|
가슴수술후 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성형 수술 후 통증이 심하시군요. 우선 구형구측인지 아닌지는 수술한 병원에서도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아마 구형구축은 아니실 것 같습니다. 유방내에 이상이 있는지는 초음파검사를 해 보시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수술 부위에 염증이 있는 경우에도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혀 이상이 없어도 통증을 호소할 수는 있답니다. 유방전문병원에서 의사의 촉진, 초음파검사 등으로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진료 비용은 14만원 내외입니다. 유방진료과정-바로가기감사합니다.
|
김** |
|
2013-05-21 |
14967 |
|
도와주세요..ㅠㅜ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0세 여성이시고 자가지방 이식수술을 7년 전에 하셨구요. 현재 유방에 만져지는 종괴가 여러개 있으셔서 제거를 원하시는군요..
이식한 자가지방이 지방 상태로 있다면 주사기로 뽑아낼 수 있지만 수술을 하신지 7년이 지났다면 현재 주사기로 뽑힐지 아니면 단단해 져서 수술을 해서 제거를 해야 할지는 우선 초음파검사를 해 보아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사기를 넣어 뽑아 보아야 뽑히는지 안뽑히는지를 알 수 있을 수도 있구요.
진료 후에 상담해 드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슬** |
|
2013-05-20 |
14966 |
|
문의합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8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시는군요.
혹시 혹이 발견되면 지켜보기도 하고 조직검사를 하기도 한다던데 조직검사마다 방법이 달라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뭔지 왜 그 조직검사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세침흡입,총생검,맘모톰 등으로 하는거 같은데 정확도가 세<총<맘 순이라던데 맘모톰 조직검사는 좋지 않다는 얘기도 있고 총생검으로 하면 맘모톰으로 2차 조직검사를 해야한다는 말도 있고..2차로 또 맘모톰으로 조직검사를 한다면 왜 애초에 맘모톰으로 안하고 총생검으로 하는건가요? -->>>>
조직검사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외과적 수술도 조직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제일 정확한 것은 종양을 모두 제거하여 조직검사 하는 맘모톰 수술이나 외과적 수술입니다. 조직검사를 하여 암이 아닌 양성 종양이 나온다면 좋겠지만 결과가 암으로 나오는 경우 종양만 제거하는 것이 아니고 주위의 정상 유방조직까지 떼어내는 암수술을 해아 합니다. 종양을 모두 제거해 버린 경우 암수술 시 수술 부위가 더 커질 수 있고 정확한 수술이 이루어지기 힘들어질 수 있어서 바로 맘모톰 수술이나 외과적 수술을 하기 보다는 <바늘총조직검사>로 암여부를 확인하신 후에 필요하면 맘모톰 수술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친구는 조직검사할때 탕탕거리는 소리가 났다고 하던데 다른 친구는 그냥 맘모톰으로 했다고 하고...총생검으로 하면 악성일 경우가 많다던데 의사가 초음파를 보고 총생검을 권한다면 어느정도 암을 각오해야하나요? 초음파로 양성으로 보여도 악성은 경우는 종종있으나 초음파로 악성으로 보이면 조직검사도 대부분 악성으로 나온다던데... 중요한 부위인 만큼 함부로 시행 이유도 모르고 의사가 권한다고 무조건적으로 조직검사를 하고 싶지 않습니다. 각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이유를 좀 자세히 알고싶은데요 같은 멍울 증세로 병원을 가도 조직검사 방법이 다른 이유는 뭔가요? 환자가 사전에 병원마다 어떤 조직검사를 하는지 일일이 확인하고 가야하나요?
--->> 암이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바늘총조직검사를 하는 것이 원칙이구요 100% 양성이지만 종양이 큰 경우 하는 경우가 맘모톰 수술입니다. 하지만 100% 양성이라고 생각했던 종양도 수술 후에 암으로 나올 수는 있습니다. 모든 조직검사가 가능한 병원에 가셔서 선택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구요
병원에 대해서 믿음이 없으시다면 바로 대학병원에 가셔서 진료 받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조직검사-바로가기
또 생리기간중에 방문하는 것이 나은지 끝나고 가는 것이 좋다면 몇일 정도 뒤에 가는것이 좋은지도 궁금합니다. --->>유방진료는 생리 주기와 관계없이 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
유** |
|
201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