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5 |
|
양쪽 유방위로 조여오는 듯한 통증이 있으며 겨드랑이 쪽으로도 유사한 증상이 있습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3세 여성이시고 수유 후 젖을 말리시는 중이시군요.
유방이 매우 나프셔서 혹히 유방암이 아닌가 걱정하시는군요.
지금도 젖분비가 많이 되시는지요?
지금 유방의 통증은 젖분비와 연관이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양쪽 유방이 함꼐 아프다면 여성호르몬 분비의 변화로 인한 통증일 것 같구요.
한쪽 유방만 아프시다면 유방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혹시 유방내의 양성 병변 또는 드물게 나쁜 병변이 있는지는 의사의 촉진, 유방초음파 등을 하셔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일본에 가시기 전에 유방진료, 그리고 젖분비 호르몬수치를 체크해 보시고 가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생리는 규칙적으로 하시는지 모르겠군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임** |
|
2003-03-05 |
924 |
|
알고 싶어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5세 여성이시고 유방확대 수술을 받으셨다구요.
식염수백, 실리콘백 그리고 요즘나오는 다당류백등이 있습니다.
이런 보형물들은 영구적인 것은 아닙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평균 수명이 13-15년입니다.
보형물이 파열되었는지 유방에 이상 반응이 있는지 살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방초음파 검사를 하시면 미세한 파열, 유방의 병변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1-2년에 한번씩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박** |
|
2003-03-05 |
923 |
|
가슴에 관해 질문이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0세 여성이시고 함몰유두이시구요. 한쪽 유두가 단단하게 만져져서 유방암이 아닐까 걱정이시군요.
혹시 유두가 아프고 피부가 빨갛게 변하시지는 않으셨는지요?
함몰유두를 가진 분들은 유두 내부에 분비물이 고이고 습해져서 유두 습진 및 염증이 잘 생깁니다. 이런 경우 치료도 힘들고 재발도 잘 됩니다.
젊으시므로 유방암의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 안심하시구요.
한번 유방진료 받으시고 안심하시고 습진 또는 염증이 있으면 치료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3-03-05 |
922 |
|
걱정이 되네여~~~꼭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겨드랑이에 멍울이 만져지고 아프시다구요.
겨드랑이에서 만져지는 멍울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피부 가까이에서 만져질 때
1)유방조직이 겨드랑이에 있는 부유방일 가능성: 정상 소견이고 100명 중 5명의 여성에서 관찰됩니다.
2)부유방에 멍울이 생겼을때: 부유방은 유방과 같으므로 그 속에 멍울도 생기도 드물게는 암도 생길 수 있습니다.
3)피부의 모낭염,피지낭염: 겉의 피부에서 아주 작은 멍울들(1mm정도)이 만져지는 경우만져지는 경우 모낭염일 수 있습니다.
4)피부의 지방종: 피부 바로 아래 있고 매우 부드럽습니다. 몸의 여러 군데 만져 지실 수 있습니다.
2.겨드랑이 깊숙히 만져질때: 겨드랑이의 움푹 파인 곳에서 만져지는 경우
1) 염증으로 인한 임파절:몸살, 감기로도 올 수 있습니다.
2)결핵 등에 의한 임파절
3)암의 전이에 의한 임파절: 주로 유방암에서 전이됩니다.
젊으시므로 암의 가능성은 드뭅니다.
부유방일 가능성이 높고 여성호르몬의 분비 변화로 인한 통증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촉진 및 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유방진료 받으십시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 |
|
2003-03-05 |
921 |
|
결절이 있다고 해서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0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작은 멍울이 진단되셨군요.
2년전에도 매우 작았고 이번에도 크기가 매우 작군요.
하지만 멍울이 양성 같아도 전 사진과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 유방진료 받으실 때에는 이번 멍울의 크기와 꼭 비교해 보도록 하십시요.
결절은 멍울이란 뜻으로 종양입니다. 종양은 암일수도 있고 양성일수도 있습니다. 암이라면 빨리자라고 다른 기관으로 전이가 될 것이고 양성이라면 크기가 변하지 않거나 자라더라도 다른 기관으로 전이되지 않을 겁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송** |
|
2003-03-05 |
920 |
|
유방암..검사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3세 여성이시고 유방이 아프고 멍울도 만져지는 것 같고 걱정이 많으시군요.
젊은 여성들은 생리도 불규칙하고 여성호르몬 분비도 왕성하여 유방통이 심할 수 있습니다. 유방이 붓고 멍울이 만져지는 느낌이 들수도 있습니다.
젊으시므로 유방암의 확율은 너무 적습니다. 걱정하지 마시구요.
다음 생리일까지 기다려 보시구요. 생리가 끝나고 3-4일 후에 자가진단 해 보시구요., 멍울이 만져지거나 한 곳이 아프시면 유방진료 받아보세요.
저희 병원에서 유방진료를 원하시면 555-6023으로 전화하시면 상담간호사가 친절히 상담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정** |
|
2003-03-04 |
919 |
|
상담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1세 여성이시고 한쪽 유방이 가렵고 커져 있다구요.
생리양도 줄으셨군요.
글쎄요, 피부가 빨개지고 아픈 증상은 없으신지요?
유방에 염증이 생기면 붓고 유방이 커지고 아플 수 있습니다.
한쪽 유방이 크고 여성호르몬에 더 민감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염증소견이 없고 아프시기만 하다면 다음 생리일까지 기다려 보시고 생리 후 3-4일 후에 자가진단하시면서 멍울이 만져지는지 유방 한곳이 아픈지 살펴보세요.
이상이 있으면 유방진료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이** |
|
2003-03-04 |
918 |
|
겨드랑이 멍울이 아파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4세 여성이시고 겨드랑이에 멍울이 만져지고 아프시다구요.
겨드랑이에서 만져지는 멍울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피부 가까이에서 만져질 때
1)유방조직이 겨드랑이에 있는 부유방일 가능성: 정상 소견이고 100명 중 5명의 여성에서 관찰됩니다.
2)부유방에 멍울이 생겼을때: 부유방은 유방과 같으므로 그 속에 멍울도 생기도 드물게는 암도 생길 수 있습니다.
3)피부의 모낭염: 겉의 피부에서 아주 작은 멍울들(1mm정도)이 만져지는 경우만져지는 경우 모낭염일 수 있습니다.
4)피부의 지방종: 피부 바로 아래 있고 매우 부드럽습니다. 몸의 여러 군데 만져 지실 수 있습니다.
2.겨드랑이 깊숙히 만져질때: 겨드랑이의 움푹 파인 곳에서 만져지는 경우
1) 염증으로 인한 임파절:몸살, 감기로도 올 수 있습니다.
2)결핵 등에 의한 임파절
3)암의 전이에 의한 임파절: 주로 유방암에서 전이됩니다.
젊으시므로 암의 가능성은 드뭅니다.
제가 보기엔 부유방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촉진 및 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겨드랑이를 자꾸 만지면 염증이 생길 수 있고 치료가 어렵습니다.
자꾸 만지지 마시고 유방진료 받으십시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정** |
|
2003-03-04 |
917 |
|
유방암인지 모르겠어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5세 여성이시고 임신 중이시군요. 오른쪽 유방에 낭종이 있다는 진단을 받으셨고 지금 유방이 아프셔서 불안하시군요.
걱정하지 마세요. 임신 중에는 여성호르몬이 증가하여 유방통이 심해지고 유방이 커지고 부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요. 임신 중에도 유방진료가 가능합니다.의사의 촉진, 유방초음파 검사를 받으셔도 되거든요. 방사선 위험이 없으므로 걱정하지 마시구요.
유방안에 멍울이 있는지 낭종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유방진료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3-03-04 |
916 |
|
문의합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5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새로 생긴 0.5cm 섬유선종으로 진단받으셨군요.
선생님이 양성으로 진단하셨고 추적검사만 필요하다고 하셨으면 6개월 후에 다시 검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크기도 작구요. 초음파 상 양성으로 생각되면 굳이 조직검사를 하실 필요가 없고 규칙적으로 추적검사 하여 변화만 보시면 됩니다.
너무 불안하시다면 간단한 조직검사를 받으셔도 됩니다.
걱정하지 마시교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오** |
|
2003-03-04 |
915 |
|
겨드랑이에 딱딱한것이 잡히거든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겨드랑이에 딱딱한 멍울이 만져지신다구요.
겨드랑이에서 만져지는 멍울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피부 가까이에서 만져질 때
1)유방조직이 겨드랑이에 있는 부유방일 가능성: 정상 소견이고 100명 중 5명의 여성에서 관찰됩니다.
2)부유방에 멍울이 생겼을때: 부유방은 유방과 같으므로 그 속에 멍울도 생기도 드물게는 암도 생길 수 있습니다.
3)피부의 모낭염: 겉의 피부에서 아주 작은 멍울들(1mm정도)이 만져지는 경우만져지는 경우 모낭염일 수 있습니다.
4)피부의 지방종: 피부 바로 아래 있고 매우 부드럽습니다. 몸의 여러 군데 만져 지실 수 있습니다.
2.겨드랑이 깊숙히 만져질때: 겨드랑이의 움푹 파인 곳에서 만져지는 경우
1) 염증으로 인한 임파절:몸살, 감기로도 올 수 있습니다.
2)결핵 등에 의한 임파절
3)암의 전이에 의한 임파절: 주로 유방암에서 전이됩니다.
만져보면 멍울이 피부 근처인지 깊숙히 있는지 감별할 수는 있지만 정확한 진단은 안 될 것 같습니다.
젊으시므로 암의 가능성은 드뭅니다.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촉진 및 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초음파 검사는 방사선 노출이 없으므로 임신 중에 하셔도 됩니다.
유방진료 받아보시고 안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이** |
|
2003-03-04 |
914 |
|
가슴이작아졌어요~ 고민이되는데 원래상태론...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3세 여성이시고 낙태 후 유방이 작아진다구요.
유산 후 젖말리는 약을 드시지는 않았나요?
만약 그러셨다면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므로 유방이 작아지고 쳐질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니 걱정마시구요.
유방진료 상 유방에 이상이 없으셨다면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기다려 보세요. 유방의 크기는 회복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현** |
|
2003-03-04 |
913 |
|
섬유선종에 원인이 무었인지...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6세 여성이시고 섬유선종으로 진단받으셨군요.
섬유선종은 20대 여성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양성 종양입니다.
암이 아니므로 다른 기관에 전이되어 생명을 위협하지 않습니다.
물론 맘모톰 등으로 제거를 해야 하지만 수술 후 현미경 검사를 하여 비정상세포가 나오지 않느다면 앞으로 유방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걱정하지 마십시요.
멍울이 크고 만져지나 보군요. 3cm이하라면 맘모톰 수술로 완전제거가 가능합니다. 국소마취를 하므로 20-30분만에 통증없이 끝날 수 있습니다.
맘모톰 수술로 완전히 제거를 한다면 그 자리에 재발은 안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유방의 다른 부위에 생길 수는 있습니다.
마모톰 수술을 하면 3mm정도의 피부 상처가 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니 걱정하지 마십시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박** |
|
2003-03-03 |
912 |
|
가슴에 멍울이 잡혀요 ㅠ.ㅠ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6세 여성이시고 양쪽 유방에 큰 멍울이 만져지시는군요.
유방조직은 바깥쪽으로 피하지방으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유방조직은 여성마다 다르고 울퉁불퉁하고 단단하여 멍울처럼 만져질 수 있습니다.
지금 만져지는 커다란 양쪽 유방의 멍울은 실제 유방조직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러나 그 안에 다른 멍울이 있는지는 유방초음파 검사 등을 해야만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20대의 유방암은 매우 적습니다. 그러나 걸리게 되면 나이드신 여성분들 보다 예후가 나쁜 것은 사실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려면 유방진료 받아 보십시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한** |
|
2003-03-03 |
911 |
|
가슴에멍울이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2세 여성이시고 왼쪽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신다구요. 생리 전에 더 커지구요.
가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실제 멍울: 멍울도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서 생리 전에 더 커진 듯한 느낌이 들고 아플 수 있습니다.
2)멍울처럼 느껴지는 유방조직: 실제 유방조직이 멍울처럼 만져지고 아플 수 있습니다.
위의 두가지 감별은 유방촉진, 유방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정확히 감별이 됩니다.
계속 한 곳에 멍울이 만져지신다면 유방진료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