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0 |
|
몇달전부터 아주 심각해졌어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40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많은 양성멍울이 있으시다구요.
몇달 전부터 유방이 붓고 멍?이 들고 유두 분비물까지 나오고 정말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우선 비타민 E복용을 안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여성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해서 유방이 붓고 유두분비물도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두분비물의 양은 많으신가요?
양이 많지 않으면 정상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십시요.
유방에 멍이 든다는 것은 조금 이해하기 어려워 직접 봐야 진단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유방통은 양성 멍울에서 동반할 수 있고 심리적으로 힘드실 때 더 심해질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십시요.
왜 유방진료를 생리 후에 받아야 하는지요?
물론 그때가 유방이 가장 얌전할 때지만 다른 때 받아도 진단에 영향을 끼치지 않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빨리 진단을 받으시고 걱정을 떨쳐버리는 것이 도음이 되실 것 같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되도록 빨리 유방진료 받아보십시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지** |
|
2003-02-28 |
879 |
|
저희 어머니 경우입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8세 여성이시고 어머니때문에 걱정이 많으시군요.
54세 되신 어머니가 유두가 함몰되시고 분비물이 나오시는군요.
갑자기 유두가 함몰되면 유방암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물론 염증일 가능성도 있지만 어머니 연세가 유방암이 많은 나이이므로 정확한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
유방촬영술, 초음파 검사를 받으셔야 하고 멍울이 발견된다면 암여부를 정확히 알기위해 조직검사까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유방진료를 받는 도중 중요한 것은 침착하게 행동하시는 겁니다.
더무 당황하면 어머니에게도 도움이 안되고 잘못된, 성급한 결정을 내릴수도 있습니다.
조직검사가 필요한 경우 요즘은 바늘로 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많이있구요.
암으로 진단되어도 잘 치료하는 경우 어머니 생명에 위협을 주지 않습니다.
너무 불안해 하지 마시구요. 어머니 편안하게 진료 받게 해 주십시요.
지금 다니시는 병원에서 간단한 조직검사가 가능하다면 다니셔도 되구요. 조직검사가 불가능하다면 유방전문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으신 후 암으로 진단되면 대학병원 암센터를 소개 받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정** |
|
2003-02-27 |
878 |
|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3세 여성이시고 어머니가 유방암에 걸리셔서 걱정을 많이 하시는군요.
유방에 1.6cm의 멍울이 진단되셨군요.
물론 암의 가능성은 적습니다. 그러나 1.6cm이면 작은 멍울은 아니고 크기가 커진 것을 의미하므로 정확한 진단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맘모톰 수술을 권해 드립니다.
국소마취로 상처없이 30분만에 멍울제거 및 조직검사가 가능합니다.
마산에 있는 병원은 잘 몰라서 죄송합니다.
좋은 진료 받으십시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구** |
|
2003-02-27 |
877 |
|
섬유선종이 2개가 생기기도 하나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2개의 섬유선종이 있다고 말씀들으셨군요.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양쪽 유방에 10개의 멍울이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멍울이 있어도 암만 아니면 생명에 지장이 없습니다.
안심하십시요.
3개월만에 멍울이 새로 생겼다면 매우 빨리 크는 멍울인 것 같습니다. 섬유선종 진단은 조직검사를 통해서 하셨나요?
물론 젊으시므로 암의 가능성은 매우 적습니다. 안심하시구요.
3개월만에 검사 하는 것은 너무 빠릅니다.
6개월 마다 진료 받아보시고 크기의 변화가 있다면 앞으로도 클 수 있으므로 멍울을 제거하여 현미경검사로 암여부를 진단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은 멍울의 크기가 작으므로 안심하시구요. 초음파 검사상 100% 섬유선종을 진단하셨다면 안심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e** |
|
2003-02-27 |
876 |
|
가슴에 귤껍질 같은 부분이...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1세 여성이시고 분만하신지 3년 정도 되셨구요.
유두 주위에 귤껍질 같은 부위가 있으시다구요.
귤껍질같다는 것은 피부가 두꺼워지고 땀구멍이 커지는 귤껍질같은 모양을 말하구요. 피부의 림프관에 암세포가 침범하여 림프관의 순환이 잘 안되어서 생기는 현상이거든요?
유두 주위의 유륜에 울퉁불퉁한 모양을 보고 놀라신 것은 아닌지요.
너무 걱정하지 마시구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유방전문의가 보고 촉진해 보고 초음파 검사 등을 해 보아야 100% 확진을 할 수 있습니다.
의심되시면 유방진료 받으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박** |
|
2003-02-27 |
875 |
|
겨드랑이 밑 가슴 옆 부분이 송곳으로 찌르는것 같아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3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통증이 있으시군요.
2년전에 유방촬영술을 하셨나요? 아니면 폐사진을 찍으셨나요?
지금은 젊으시므로 유방조직이 단단합니다. 유방촬영술을 찍으셔도 유방내의 이상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습니다.
젊은 여성은 유방초음파 검사를 하셔야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구요.
유방통은 유방암을 크게 의심하는 증상은 아닙니다. 안심하시구요.
그러나 한번 초음파 검사를 받아보시고 100% 안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민** |
|
2003-02-27 |
874 |
|
가슴이 아파서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4세 여성이시고 유방의 통증이 있는 기간이 길어지셨다구요.
생리 시작하면서 10일 간은 유방통이 없으시구요. 다행이시네요.
주기적인 유방통, 즉 좋아지셨다가 나타나는 유방통은 유방암의 증상이 아닙니다. 걱정하지 마십시요.
여성들의 유방은 일생동안 많은 변화를 겪게 됩니다.
임신, 수유를 하면서도 큰 변화가 있지만 주기적인 유방통도 기간이 길어졌다가 짧아지곤 합니다.
원인은 여성호르몬이 변화하기 때문인데 설명하기 어려운 변화들이 생기곤 합니다.
몸의 건강상태, 심리적인 스트레스에 따라 호르몬 분비가 변화하므로 나이에 따라 , 시기에 따라 주기적인 유방통의 양상이 달라집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구요.
유방내의 멍울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생리가 끝나고 3-4일 후 유방자가진단 해 보시고 유방의 멍울이 의심되면 유방진료 받으십시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3-02-27 |
873 |
|
혹시 유방암이 아닐까 해서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7세 여성이시고 함몰유두가 있으시고 유두분비물도 있으시고,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는 것 같고... 걱정이 많으시군요.
우선 유방이 정상인지 멍울이 있는지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
의사의 촉진, 유방초음파 등을 하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구요.
유두 함몰 및 염증이 있나 살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유방암 진료를 받으신 후 유두함몰에 대해 의논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우선 처분히 하나하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유방암의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유방진료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3-02-27 |
872 |
|
섬유선종이라고 하는데..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6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3cm정도의 멍울이 만져지시는군요. 통증도 있으시구요. 어머니가 유방암 수술을 받으셔서 더욱 걱정이 크시죠.
유방의 3cm 멍울은 수술로 제거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물론 더 이상 안 커질 수도 있지만 3cm의 멍울은 대부분에서 자랍니다.
너무 커지면 큰 상처를 내고 수술로 제거해야 합니다.
4개월을 기다리는 것은 좋은 결정이 아닌 것 같습니다.
3cm까지의 멍울은 맘모톰 수술로 제거하여 조직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상처없이 부분마취로 멍울을 제거할 수 있고 가장 중요한 것은 멍울을 모두 뗴어 현미경으로 검사하므로 진단이 매우 정확하다는 것입니다.
젊으시므로 유방암의 가능성은 매우 적습니다. 그러나 유방진료 받으시고 조직검사를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3-02-27 |
871 |
|
저희 엄마가 쫌 심하세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헤입니다.
17세 여성이시고 어머니가 유방암 진단을 받으셨나 보군요, 지금 기치료를 받고 계시구요.
사실 유방암 진단을 받고도 이를 외면하고 기치료, 단식원에서 치료를 고집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제가 노력을 해도 병원에 가서 치료 받기를 거부하시기도 합니다.
유방암은 수술 및 항암치료가 증명된 표준 치료법입니다. 다른 치료는 증명된 바가 없습니다.
어머니를 잘 설득하실 분은 아버지와 가족들입니다.
어머니를 잘 설득하셔서 정확한 진단명을 알아보시고 병원에서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게 도와드려야 합니다.
좋은 소식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ㅇ** |
|
2003-02-27 |
870 |
|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그리구여..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3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1.6cm의 멍울이 진단되셨죠.
제가 맘모톰 수술로 정확한 조직검사를 권해 드렸구요.
<맘모톰 수술클리닉>을 읽어보시면 수술과정과 수술 후에 대해 자세한 그림이 열거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시구요.
국소마취 하에 상처없이 멍울을 제거하여 조직검사 할 수 있구요. 멍울을 모두 꺼내 현미경으로 살피므로 진단율은 100%입니다. 이미 학회에 보고를 했구요.
단점은 아니지만 체질에 따라 멍이 드실 수 있습니다. 멍은 2개월이 지나면 사라지시구요. 수술 후 약간 아플 수 있습니다. 진통제로 해결이 되시구요.
1.6cm멍울은 완전제거가 가능합니다. 그 자리에 재발은 안해도 다른 부위에 생기는 것은 가능합니다.
멍울을 여성호르몬이 왕성한 경우 크게 자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원인을 알면 노벨상을 탈 겁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간호사가 친절하게 비용 및 예약과정을 설명 해 드릴겁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구** |
|
2003-02-27 |
869 |
|
가끔 가슴이 아파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양쪽 유방이 가끔 아프시구요.
양쪽 유방이 가끔 아프고 또 증상이 좋아지시는 것은 유방암의 증상은 아닙니다. 여성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통증이 생겼다가 좋아지시는 것 같습니다.
유방통은 정상적으로 생리전에 심해지지만 심리적인 스트레스, 힘든 일 등에 의해 심해지기도 하고 생리 후에도 올 수 있습니다.
걱정 너무 하지 마시구요.
모유를 안 먹인 것도 유방암의 큰 위험요인은 아니니 안심하세요. 유방암은 원인을 정확히 모르므로 모든 여성이 걱정해야 하는 병입니다.
생리가 끝나고 3-4일 후에 자가진단 하시면성 만져지는 멍울, 한곳에 지속되는 유방통이 있으면 유방진료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구** |
|
2003-02-27 |
868 |
|
유방암수술을했습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43세 여성이시고 항암치료 중이시군요. 백혈구 수치가 떨어져서 힘드시겠군요.
면역강화제에 대해 관심이 있으시군요.
그런데요. 일반적으로 표준치료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표준 치료제로 사용하려면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해서 효과를 입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거든요.
주치의 선생님께 자세한 상담을 부탁해 보는 것은 어떨지요.
급한 마음에 이치료 저치료를 생각해 보는 심정은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이럴때일수록 차분히 따져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담당 선생님과 의논해 보세요.
좋은 결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박** |
|
2003-02-27 |
867 |
|
제발 답변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2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고 아프신 것 같다구요.
많은 여성들이 정상 유방조직을 멍울로 오인하기도 하고 멍울을 정상유방으로 오인합니다. 그만큼 자신의 유방이 정상인지 아닌지 구별 못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젊으시므로 유방암의 가능성은 매우 적습니다.
걱정하지 마시고 필요하면 유방진료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이** |
|
2003-02-27 |
866 |
|
양쪽 겨드랑이 옆쪽이 아파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45세 여성이시고 겨드랑이 옆쪽이 아프시다구요.
이모가 유방암에 걸리셔서 유전이 아닐까 걱정하시는군요.
어머니 이모 등 가족에게 유방암 병력이 있으면 물론 유방암의 위험이 다른 여성보다 2-4배 증가하지만 모든 여성이 유방암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어머니는 유방암 병력이 없으므로 유전자의 유전도 불확실합니다.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구요, 규칙적인 유방진료를 받으십시요.
겨드랑이 통증은 부유방, 즉 유방조직이 겨드랑이에 있는 분인 경우 호르몬의 변화에 가끔 아플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유방진료 받아보세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등을 받으시면 겨드랑이에 림프절이 있는지 부유방이 있는지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윤** |
|
200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