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e4f247bb2e3a318c94095fc986e05c_1598627367_9428.jpg


Total 16,509건 11 페이지
원장님 1:1 상담 목록
번호 진료과목 제목 작성자 문의상태 작성일
16359 유방암|갑상선 유방 초음파
답변이 있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예약장부 확인 후 데스크에서 연락드리겠습니다.

편안한 하루 되십시요. 감사합니다.

주** 2022-12-14
16358 유방암|유방질환 안녕하세요 해외에 거주중인데요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초음파 검사를 꼭 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가능한 빨리 검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거기서라도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촬영은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초음파 검사를 하셔야 합니다.

거기서 진료를 먼저 보고 입국하실지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유방암이 아닐 가능성도 있으니 거기서 먼저 진료를 보십시요.

감사합니다.

이** 2022-12-14
16357 유방질환 4월 진료내용과 조직검사 결과 이메일 요청
답변이 있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이번 주중에 메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가지고 계신 영상 CD와 같이 제출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김** 2022-12-13
16356 유방암 유방암검사예약
답변이 있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데스크에서 연락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2022-11-26
16355 유방질환 조직검사후 변화가 있을땐 어찌해야할까요?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조직검사상 섬유선종이었고 크기가 커지는 혹이라면 총 조직검사를 다시 하지는 않고 맘모톰 수술이나 절제수술을 통해 제거하면서 조직검사를 보냅니다.

나이를 고려할 때는 고위험 병변일 가능성은 매우 낮아요. 섬유선종이 자라는 것 같습니다.

섬유선종은 커지다가 멈추는 경우도 있고 10-20%에서는 계속 자라기도 합니다.

만져지고 통증을 동반하는 멍울이라면 제거를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1년동안 0.25cm 자란 정도라 빨리 자라는 혹은 아닌 것 같습니다.

6개월후 한 번 보고 계속 커진다면 제거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3개월 후 다시 보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 느리게 자라는 혹은 몇 달 사이에는 변화가 없어보이거든요.

섬유선종 자체가 악성 위험도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계속 자란다면 복합 섬유선종이나 엽상종양 가능성이 있어서 제거해야 합니다.

불안하시다면 6개월까지 기다리지 마시고 바로 제거하면서 조직검사 해 보는 것을 고려해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담당 선생님과 다시 상의해 보시고 결정하십시요.

감사합니다.

서** 2022-11-21
16354 유방질환 유즙분비..
답변이 있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유즙이 아니라 맑은 노란색이라면 진료를 한 번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유방 초음파 검사를 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유관내에 병변이 있을 가능성이 있어서요.

진료시까지 짜지 마시고 자극주지 마세요.

감사합니다.

로** 2022-11-21
16353 유방질환 유방 조직검사 후
답변이 있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유방에 낭성 병변을 조직검사 하였고 염증성 낭종이라고 진단받으셨네요.

조직검사 부위가 빨갛게 발적이 있고 열감이 있다면 항생제 복용을 하셔야 하지만 부종과 통증만 있다면 약을 안 드셔도 됩니다.

통증이 있을 때만 소염진통제 복용하시면 됩니다.

9월에 조직검사 하시고 지금 불편하시다면 조직검사 때문에 생긴 염증은 아닙니다. 낭종은 오래되면서 염증세포가 모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켜보셔도 될 것 같아요. 될 수 있으면 통증 부위의 자극은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부종이 심해진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구요.

감사합니다.


박** 2022-11-08
16352 유방질환 유방질환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입니다.

개화성 증식증은 잘 제거하신 것 같구요. 멍은 서서히 좋아집니다.

멍이 오래가는 경우가 있고 통증도 오래갈 수 있습니다.

아프실 때 타이레놀 같은 소염진통제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제거가 되었다면 추적관찰 하시면 됩니다. 

증식성 병변이 다발적으로 산재하는 경우에는 유방암 위험도가 좀 더 높긴 합니다.

다른 부위에도 병변이 여러 개가 있다면 6개월 간격으로 추적초음파 검사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식이습관 조절 및 규칙적인 생활, 운동 등 생활 속에서 유방암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으니 실천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유방암 학회 홈페이지에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효** 2022-11-07
16351 유방질환 유방질환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입니다.

1차 맘모톰 수술 후 상피내암 진단되었고 추가로 절제수술하여 개화성 증식증으로 진단되신 것인지 수술은 한 번만 하였는데 1차소견이 상피내암의심이고 특수염색하여 개화성 증식증으로 나온 것인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방사선 치료나 3차병원 의뢰가 되어 있는 상태인지도 궁금하구요.

개화성 증식증은 아직 유관 증식증의 정도가 심한 증식이고 전암병변은 아닙니다.

병리판독이 주관적이긴 하지만 비정형 세포가 보이지 않았다면 유방암일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겨드랑이 붓고 아픈 증상은 유방질환과는 관계없는 증상입니다.

수술하셨던 담당 주치의와 다시 상의해 보세요.

병리판독도 중요하지만 진료한 전문의의 임상소견도 중요하거든요. 

수술하신지 얼마 되시지 않아서 초음파를 하여도 별다른 정보를 얻지 못합니다.

2차수술예정이시라면 병변부위 확인을 위해 초음파를 하기도 합니다만 현재 치료가 끝난 상태라면 수술 후 6개월에 초음파를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흑염소는 드시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효** 2022-11-06
16350 맘모톰|유방질환 유방결절과 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입니다.

유방의 통증은 유방 질환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담에 걸린듯한 느낌이나 찌르는 느낌 등은 자세나 습관 등 여러가지 자극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리적인 불안도 통증을 유발할 수 있구요.

가족력이 있으니 좀 더 불안감이 있을 수는 있겠습니다.

초음파상 문제가 없다면 정기검진 하시면 되고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자가검진을 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력이 있으니 2년에 한 번 검진하지 마시고 1년에 한 번은 유방 초음파 검사를 같이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내년에 검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어깨나 팔, 주무시는 자세, 평소 식이 습관, 체중변화 등을  잘 보시고 통증을 일으킬 만한 원인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통증과 유방암은 관계없으니 너무 불안해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남** 2022-11-01
16349 유방암|유방질환 유방 멍울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여기서 맘모톰을 하셨다면 성함과 생년월일 남겨주시면 제가 영상 다시 찾아보고 다시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 2022-10-14
16348 갑상선 신지록신150mg 계속 복용해도 될까요?
답변이 있습니다.
전화로 답변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2022-10-03
16347 유방암 안녕하세요
답변이 있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사춘기 즈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마도 정상 유방 실질일 것으로 생각되어요. 2차 성징으로 인항 멍울이 맞습니다.

상피내암은 진행이 느리고 초기에 뚜렷한 멍울 없이 미세석회화의 형태로 보이기 때문에 석회화는 몇 년 전에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사춘기때부터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병변의 범위가 넓어서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를 다시 확인해 보고 추가적인 치료를 하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MRI상 별 말이 없으셨다면 우측 유방만 잘 수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좌측 유방의 병변은 문제되는 병변은 아니니 정기검진 하시면 됩니다.

수술 잘 받으시고 불편한 증상 있으면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박** 2022-10-03
16346 유방암|맘모톰|유방질환|갑상선 예약하고싶습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데스크에서 전화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서** 2022-09-29
16345 유방암|유방질환 유즙 분비, 유방 혹, 프로락틴 호르몬 관련 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여러가지 자극에 의해 생리적으로 유즙분비가 될 수 있습니다.

프로락틴 수치는 자주 검사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유두자극이 있으면 수치가 올라갈 수 있구요.

수차례 초음파 검사에서도 유방암을 의심할 만한 소견이 없었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프로락틴 수치와 유방암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복용하고 있는 각종 건강식품 및 약물 등은 일단 끊어보시고 유두는 될 수 있으면 건드리시면 안됩니다.

일단 지켜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제 소견은 10월 5일에 진료를 보지 마시고 몇 달 있다가 추적관찰 기간이 되면 오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박** 2022-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