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95 |
|
유방 결절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정황상 크기가 작고 모양이 나쁘지 않은 결절인 것 같네요. 일반적인 증식성 결절들은 제거한다고 암예방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단은 정기검진만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모양이 좋지 않거나 크기가 커지는 결절이라면 조직검사를 해 보셔야 합니다. 초음파 검사는 매우 주관적인 검사이기 때문에 보는 사람에 따라 판독이 달라질 수 있어요. 제가 사진을 보지 않아 정확한 판단은 아니니 참고만 해 주세요. 불안하시다면 초음파 사진을 가지고 방문해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홍** |
|
2020-09-07 |
16194 |
|
분비물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두습진으로 생각됩니다. 완치되는 질환이 아니라 조절하면서 사셔야 합니다. 연고를 바르거나 약을 먹으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호전되는데 이 시기에 유방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음식, 스트레스, 건조한 피부, 땀, 속옷 등 모든 자극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속옷은 통풍이 잘 되는 부드러운 소재로 입으셔야 하고 세정제나 타월등 유방에 자극줄 수 있는 모든 것을 피하셔야 합니다. 건조해지지 않도록 보습도 신경써 주셔야 하구요. 증상이 심할 때는 병원 진료를 보십시요.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질환으로 완치의 개념이 없습니다. 알러지 같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점차 좋아집니다. 가까운 피부과나 유방외과에서 진료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20-09-02 |
16193 |
|
겨드랑이 피지낭종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약물치료는 없구요 피지 주머니를 같이 제거하셔야 해요. 국소마취하에 절개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제거하고 나면 5~7일 사이에 실밥 제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회복기간은 따로 필요하지 않고 간단한 시술입니다. 자극주면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건드리지 마시구요. 마취제에 민감하신 분이 아니라면 큰 부작용은 없을 것 같네요. 예약 후 방문해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T** |
|
2020-09-02 |
16192 |
|
유륜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륜의 크기만 바뀌고 부종이나 통증, 만져지는 멍울, 분비물 등의 증상이 없다면 유방의 문제는 아닐 가능성이 큽니다. 피부에 과민반응이 생기는 것 같은데요. 진료는 가능한데 피부과 질환일 수 있어서요. 일단 피부과 진료를 한 번 보십시요. 크기변화 외에 다른 증상이 있다면 유방 초음파 검사를 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오** |
|
2020-08-31 |
16191 |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초음파상에서 6.2mm 결절음영이 보였던 것 같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주관적인 검사이고 유방 실질은 지방조직, 유선조직, 유관조직, 혈관, 인대,근육 등 여러 다른 조직들이 불균질하게 엉켜있어요. 특히 우리나라 여성들은 유선조직의 밀도가 서양 여성에 비해 높은 편이라 초음파 검사상 가성 병변들이 많이 보일 수 있습니다. 아마도 발달된 유선일 가능성이 높아보이지만 주변보다 저에코음영이라 6개월 후에 다시 관찰하자는 소견일 것 같네요. 간혹 실질만 불균질한 부위에 유방암이 숨어있기도 하니 불안하시다면 조직검사를 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습니다. 외래에서 결절의 일부만 떼어서 보는 총조직검사를 간단하게 하실 수 있구요. 조직검사상 양성결절이라면 1년에 한 번 정기검진 하시면 됩니다. 오른쪽 겨드랑이 통증은 병변과는 관계없는 증상이구요. 초음파 사진을 가지고 저한테 오시면 제가 그 부위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방문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0-08-25 |
16190 |
|
유륜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1cm 미만의 모양이 괜찮은 결절들은 제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6개월후 추적초음파 검사를 하시면 되구요. 모양이나 크기변화가 있다면 제거를 고려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모양이 불규칙하다면 총조직검사를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없다면 1cm 이하의 결절들은 일반적으로 지켜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유륜에 좁쌀처럼 느껴지는 것은 몽고메리 피지선입니다. 자극을 주면 더 커지고 염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될 수 있으면 자극을 주지 마시고 부드러운 속옷을 입으십시요. 불안하시다면 검사하셨던 초음파 사진을 가지고 한 번 방문해 주세요. 제가 진료보고 다시 설명 드릴께요. 감사합니다.
|
김** |
|
2020-08-25 |
16189 |
|
양성석회화
|
주** |
|
2020-08-19 |
16188 |
|
유두부위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만져지는 멍울이 없다면 유방 자극에 의한 압통일 가능성이 높지만 초음파 검사는 한 번 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은 누르거나 자극주지 마시고 통증시에 소염진통제를 복용하십시요. 생리 주기나 몸 컨디션에 따라 유방조직이 좀 더 붓거나 민감해지는 시기가 있습니다. 될 수 있으면 자극을 주시면 안됩니다. 유방암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은 낮지만 통증을 일으키는 병변이 있을 수 있으니 진료는 한 번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약 후 방문해 주십시요.( 수요일 오후는 휴진입니다.온라인 예약 가능합니다.) 방문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0-08-19 |
16187 |
|
석회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촬영상 양성석회화라면 문제될 게 없습니다. 양성석회화는 아주 흔한 소견으로 유방통과도 관련이 없어요. 이전에 맘모톰 수술은 석회 때문에 하신 것인지 양성 결절 때문에 하신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맘모톰 수술 하셨다고 하여 혹이 다시 안 생기지 않습니다. 오히려 비슷한 병변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유방초음파 검사는 꼭 하셔야 합니다. 전반적인 섬유낭성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이런 경우 석회가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호르몬 자극에 의한 유방의 증식성 변화로 추정되는데 가임기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임신, 출산, 수유에 의해 양상이 바뀌기도 하고 폐경 이후에는 더 안 생깁니다. ( 유방암과 관계가 없는 병변이에요.) 하지만 이러한 병변 사이에 문제가 될 만한 병변이 생기기도 하기 때문에 1년에 한 번 정도는 유방초음파 검사를 꼭 해 보셔야 해요. 필요하다면 조직검사도 하셔야 하고 크기가 커진다면 제거하셔야 합니다. 나중에 저한테도 한 번 오세요. ( 이전 영상 가지고 오시면 다시 말씀드릴께요) 감사합니다.
|
김** |
|
2020-08-18 |
16186 |
|
유두분비물
|
송** |
|
2020-08-17 |
16185 |
|
크기가 변하는 종양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이영미입니다. 1년동안 0.6cm에서 0.7cm 이면 커졌다고 보기 어렵겠는데요. 유방 초음파는 매우 주관적인 검사라 재는 각도에 따라 몇 밀리미터 정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모양을 봐야 하는데 제가 영상을 보지 않아서 판단이 어렵네요. 경화성 선증은 다 제거하여 없어졌기 때문에 향후 정기적인 유방초음파 검사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유방 조직에 증식성 변화가 보이는 것 같은데요. 가임기 동안에는 지속적인 호르몬 자극이 있기 때문에 양성 결절이라도 조금씩 크기변화나 모양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몇 밀리미터의 크기변화에 너무 불안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일반적인 증식성 결절들은 모양이 괜찮다면 2cm 정도까지는 지켜보셔도 되요. 모양이 안 좋다면 조직검사를 해 봐야 하구요. 이전 사진과 이번 사진을 저한테 가지고 오시면 제가 비교해 보겠습니다. 8월 17일까지는 휴진이니 온라인 예약을 이용해 주십시요. 8월 18일부터 데스크 예약 ( 555-6023)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문** |
|
2020-08-14 |
16184 |
|
양성엽상종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맘모톰으로 모두 제거하여 양성 엽상종이라고 판명되었다면 크게 절제했다고 해서 조직검사 결과가 달라지지 않아요. 세포 이형성이 없는 양성 엽상 종양은 최근에는 맘모톰으로 절제하기도 해요. 총조직검사상 섬유선종이라고 진단되서 맘모톰 시행 후에 양성 엽상종양으로 진단명이 바뀌는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초음파상 다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재수술은 하지 않습니다. 경험상 이형성이 없는 양성 엽상종양은 섬유선종과 병의 경과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재발이 된다해도 양성 엽상종양으로 재발되고 재발된다면 그 때 외과적 수술 하시면 됩니다. 섬유선종보다는 재발이 더 잘 되지만 병의 경과는 섬유선종과 비슷합니다. 크기나 모양에 따라 다르지만 재발을 안하는 경우가 더 많아요. 6개월후 검진하시면 될 것 같고 그 사이에 뭔가 만져지거나 불안하시다면 좀 더 빨리 진료를 보십시요. 감사합니다.
|
신** |
|
2020-08-14 |
16183 |
|
유두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만져지는 멍울이나 유두분비물 등의 증상이 없다면 유두자극에 의한 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호르몬 주기에 따라 좀 더 민감해지는 시기가 있기도 하구요. 체중변화나 유두 균열 등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통증의 원인은 다양하거든요.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시고 유두자극을 주지 말고 지켜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1년 이내에 유방 검사를 하신 적이 없다면 검사는 한 번 해 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심리적인 원인도 있기 때문에 통증이 계속된다면 진료를 보고 안심하시는 게 도움이 됩니다. 멀지 않으시다면 검사하러 한 번 오세요. 감사합니다.
|
노** |
|
2020-08-07 |
16182 |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일단 제가 봐야 할 것 같네요. 말씀만 들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도움이 안 되어 죄송하네요. 나이를 고려할 때는 유방암보다는 양성결절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만져지는 혹은 초음파 검사를 해보고 필요하면 조직검사를 해야합니다. 무겁고 답답한 느낌이나 민감해지는 증상은 유방암과 관계가 없어요. 진료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C** |
|
2020-08-06 |
16181 |
|
유방결절 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 초음파는 검사하는 사람에 따라 판독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재는 각도에 따라 같은 결절이라도 크기가 달라집니다. 2018년에 검진상 보였던 결절과 올해 0.9cm 결절이 같은 결절인지 새로 생긴 결절인지 사진을 보지 않고 알 수 없을 것 같은데요. 0.9cm 이면 큰 결절은 아니고 만져질 수 있는 크기는 아닙니다. 1년 후에 봐도 되는지 6개월 후에 봐야되는지 아니면 조직검사가 필요한 결절인지는 영상을 확인해야 판단할 수 있겠습니다. 6개월 후에 검진을 할 상황이 안 되면 일반적으로는 조직검사를 하여 확실하게 진단을 한 후에 1년에 한 번씩 보기도 하거든요. 유방통과 유방 결절은 대부분 관계가 없습니다. 현재 한국에 계시다면 검진했던 영상을 가지고 한 번 방문해 주십시요. (8월 5일까지는 병원 휴진이라 온라인예약만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