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80 |
|
오른쪽 유륜 크기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제가 보지 않아서 정확하진 않지만 유륜에 만져지는 멍울이 없다면 피부 질환일 것 같습니다. 피부가 빨갛게 부었다면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하고 단순히 가려움증과 통증만 있다면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면 호전됩니다. 일단은 손으로 긁거나 자극을 주지 마시고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게 보습크림을 발라주십시요. 부드러운 소재로 속옷을 잘 입으시구요. 유륜의 물집이라면 아마도 피지샘일 가능성이 높아요. 자극을 주면 크기가 커집니다. 옷과 마찰을 최대한 피하셔야 해서 활동시에는 브라를 착용하여 지지하는 것이 마찰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소염진통제 복용이 통증에 도움이 됩니다. 유륜 상태와 상관없이 유방 검진은 한 번 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8월 5일까지는 병원이 휴진이구요. 온라인 예약 가능하고 전화예약은 목요일부터 가능합니다. 예약 후 한 번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김** |
|
2020-08-03 |
16179 |
|
건강검진결과 유방결절 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제가 초음파 사진을 보지 않아서 정확하게 상담하기가 어렵겠는데요. 모양이 괜찮다면 일반적으로는 6개월 후 추적초음파 검사를 권합니다. 1cm 이상의 결절은 모양이 나쁘지 않더라도 진단 목적의 조직검사를 해 보기도 하구요. 다발성 결절들이 낭성결절이라면 1cm 넘더라도 그냥 지켜보게 됩니다. 크기가 큰 결절은 아니지만 영상이 있어야 제가 판단할 수 있어요. 초음파는 보는 사람에 따라 판독이 달라질 수 있거든요. 영상을 복사해서 저한테 가져오시면 상담 가능합니다. 예약(555-6023) 후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윤** |
|
2020-07-31 |
16178 |
|
가슴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암 증상은 아닙니다. 유방통과 유방암은 대부분 관계가 없어요. 한 부위가 아픈 것이 아니고 전체적으로 찌릿하다면 더욱 유방암은 아닙니다. 유방통의 원인은 다양하고 또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아요. 2017년 수술 이후에 유방초음파를 보신 적이 없으시다면 진료는 한 번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방 진료는 생리 주기와 상관없이 언제든 가능합니다. 불안해하지 마시고 가능한 빨리 진료보시고 안심하십시요. 심리적인 불안도 유방통의 원인이 될 수 있거든요. 수술하셨던 병원에서 진료 보셔도 되고 저한테 오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
k** |
|
2020-07-30 |
16177 |
|
맘모톰 후 혈종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혈종의 크기에 따라서 흡수되는 속도가 다릅니다. 혈종이 컸다면 4개월 후에도 다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도 있어요. 가슴 밑쪽은 수술한 부위가 아니신데 만져지시는 건가요? 수술했던 부위가 아니라면 초음파로 잡히는 부분을 다시 확인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수술했던 부위라면 좀 기다려보셔도 될 것 같구요. 섬유선종은 문제가 안되는데 엽상종이 있었기 때문에 향후에도 지속적인 관리는 필요할 것 같습니다. 6개월이 되지 않았더라도 새로운 증상이 생기거나 불안한 마음이 있다면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라면 정신건강을 위해서도 진료를 빨리 보십시요. 제 경험상 대부분의 경우는 별 일 아니었습니다. 걱정마시고 날짜 잡아서 진료보시고 나중에 저한테도 경과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임** |
|
2020-07-25 |
16176 |
|
갑상선기능저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이어도 TSH 수치가 22 정도이면 갑상선 호르몬제를 복용하셔야 합니다. 검사 때의 컨디션이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5배이상 증가시키지는 않습니다. 갑상선염에 의한 갑상선 기능저하로 생각됩니다. 갑상선염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원인을 알 수 없어요. 치료를 장기간 해야할지는 약 복용하면서 2-3달에 한번씩 피검사하여 결정하셔야 합니다. 병의 경과는 저도 알 수가 없습니다. 개인차가 매우 크거든요. 일단은 약은 드셔야 할 것 같네요. 거리가 멀다면 검사한 병원에서 약을 드시는 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2-3개월 간격으로 피검사 하면서 꾸준히 다니셔야 하거든요. 너무 걱정마시고 갑상선 호르몬제 복용하십시요. 감사합니다.
|
갑** |
|
2020-07-23 |
16175 |
|
유두 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1년 이내에 초음파검진 하신 적이 없다면 유방초음파를 같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제거한다면 소독하러 한 두 번 오셔야 할 수 있겠구요. 진료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J** |
|
2020-07-20 |
16174 |
|
검사후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이영미입니다. 내원하신 날 갑상선 기능 검사를 해 볼 걸 그랬네요. 별다른 증상이 없으신 분들은 일반적으로 우연히 발견되는 갑상선염은 기능검사를 따로 하지 않거든요. 염증이 심한 경우에도 증상이 없다면 기능검사는 대부분 정상으로 나옵니다. 갑상선 기능저하와 관련된 증상이 새로 생긴다면 피검사는 꼭 해보셔야 합니다. 피검사상 기능 저하일 경우에는 갑상선호르몬제를 복용하셔야 하구요. 제가 진료 가능하니 피검사가 이상있다면 결과 가지고 저한테 오세요. 갑상선 기능에 문제가 있으면 2-3달에 한 번은 피검사 하면서 약조절을 해야해서 거리가 멀다면 저한테 오시는 게 번거로울 수는 있겠어요. 일단 피검사 결과 이상있다면 저한테 메일 주세요. 제가 답변 드릴께요. lymuclinic@naver.com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문** |
|
2020-07-17 |
16173 |
|
유관확장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확장된 유관내에 병변이 없다면 유관확장증은 따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은 아닙니다. 유두분비물이 동반되거나 관내에 병변이 의심되면 확장된 관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재 전체적으로 늘어나 있다면 병적인 유관확장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이전의 반복적 수술로 인한 자극으로 유관손상이 생겼을 수도 있겠구요. 생리적 유관확장과 유방의 혹은 연관이 없을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혹이 잘 생기신다면 호르몬 변화에 따라 유방이 민감한 건 맞습니다만 따로 예방이나 치료를 미리 하지는 않아요. 생리가 불규칙적인 것은 관련이 없겠구요. 꾸준한 운동과 야채섭취, 규칙적인 생활은 유방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정기검진 하십시요. 치료 안하셔도 됩니다. 불안하시다면 이전 사진과 조직검사 결과지 가지고 한 번 방문해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J** |
|
2020-07-15 |
16172 |
|
습진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두습진이 맞다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질환입니다. 이유를 찾기는 어려울 거에요. 평소에 피부가 건조하지 않게 보습크림을 잘 발라주시고 가렵거나 진물이 나올 때는 연고를 바르거나 증상이 심할 때는 먹는 약을 복용하십시요. 메디폼이나 듀오덤, 밴드 등은 붙이시면 악화됩니다. 연고 바르시고 거즈만 대 주십시요. 인스턴트 음식, 고지방 음식을 피하시고 땀이 오래 차지 않도록 통풍이 잘 되는 속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뚜렷한 원인없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질환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괜찮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처방받은 연고 바르시고 가려움증이 심하다면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십시요. 호전된 후에도 관리를 잘 하셔야 되는 질환입니다. 감사합니다.
|
윤** |
|
2020-07-11 |
16171 |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관에서 나오는 것인지 아니면 유두균열에 의한 분비물인지 온라인상에서는 판단하기가 어렵네요. 진료를 한 번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유방초음파로 유관내에 병변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예약 도와드릴께요. 진료시까지 유방자극은 피하십시요. 자극을 주면 분비물 양이 늘어납니다. 유두의 상처는 연고를 발라주시구요. 방문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 |
|
2020-07-08 |
16170 |
|
딸의 엽상선종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여성호르몬 분비의 이상으로 섬유선종이 커지는 것이 아닙니다. 호르몬에는 이상이 없을 겁니다. 엽상종양인지 섬유선종인지 확인이 된 상태인가요? 엽상종양이라면 맘모톰보다는 절제수술을 하는 것을 권유하구요. 호르몬 치료는 따로 필요하지 않아요. 아직 섬유선종이나 엽상종의 원인은 잘 모릅니다. 다만 호르몬에 따른 유방조직의 민감도가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구요. 따로 호르몬 검사는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엽상 선종이라는 병변은 없구요. 엽상종양, 섬유선종이에요. 엽상종양이라면 전신마취를 통해 절제수술을 하셔야 합니다. 섬유선종이라면 맘모톰으로 수술하셔도 됩니다. 불안하시다면 영상사진과 조직검사 결과지 가지고 한 번 방문해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지** |
|
2020-07-04 |
16169 |
|
생리직전 가슴 통증 관련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이영미입니다. 왼쪽 상방에는 이전부터 2cm 넘는 종양이 있었는데 2014년부터 변화없는 소견이라 관찰중이었습니다. 2014년도에 조직검사 하였고 양성판정이 나왔던 결절이구요. 크기가 크지만 워낙 오래된 결절이라 절제수술 권하지 않았었습니다. 같은 위치 종양이 맞습니다. 초음파상 재는 각도에 따라 크기변화는 있을 수 있겠습니다. 조직검사 하신 초음파 사진을 가지고 오시면 제가 다시 비교해볼께요. 전체적으로 유방이 단단하신 편이고 만져지는 멍울들이 많아서 불안하실 것 같긴 합니다. 많이 아프시다면 진통제 드셔도 되구요. 제가 오늘 오후 휴진이라 전화를 못받았네요. 혹시 문의사항은 메일 주셔도 됩니다. lymuclinic@naver.com 입니다. 거기서 찍은 사진 CD로 담아오시면 제가 올해는 초음파 다시 안 볼께요. 걱정하지 마시고 한 번 방문해 주십시요. 가임기 동안에는 여러가지 호르몬 변화나 몸 컨디션에 따라 통증은 나타날 수 있어요. 방문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임** |
|
2020-07-01 |
16168 |
|
섬유낭종 수술 후 질문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맘모톰으로 섬유낭성 병변을 절제하신 것 같네요. 초반에는 수술부위에 생긴 혈종이 흡수되면서 딱딱해지다가 점차 부드러워져요. 뭔가 있는 느낌은 재발보다는 수술부위에 구조적인 왜곡이 생기기 때문에 느껴지는 증상이 아닐까 싶은데요. 6개월만에 만져질 정도로 재발할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엽상종이나 빠르게 자라는 종양은 재발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하지만 조직검사가 섬유낭성변화였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향후 주변에 다시 병변이 생긴다고 해도 크기가 너무 커지지 않는 한은 재수술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 병변은 유방암과 관련이 없는 병변이기 때문입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진료보십시요. 감사합니다.
|
양** |
|
2020-07-01 |
16167 |
|
섬유선종관련
|
강** |
|
2020-06-22 |
16166 |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mucocele-like lesion 인지는 조직검사를 해 봐야 알 수 있겠습니다. 맘모톰으로 가능할 것 같은데요. 일단 유방촬영,초음파 영상 가지고 한 번 방문해주세요. 석회화 범위에 따라 완전제거는 어려울 수 있지만 조직검사를 해 보고 이전과 검사결과가 같다면 지켜보셔도 됩니다. 진료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 |
|
2020-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