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17 |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보통은 2년정도 지켜보아 변화가 없다면 조직검사 하지 않았어도 양성결절로 판정이 됩니다. 현재 1년 6개월정도 크기변화가 없다면 악성일 확률은 없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결절 내에 정상 유선조직이 있기 때문에 양성결절이라도 암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다만 양성결절 내에서 암이 생길 확률과 결절이 없는 부위에서 암이 생길 확률이 같기 때문에 제거한다고 하여 암이 예방되는 것은 아닙니다. 1년에 한 번 정도 정기검진 하시면 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
건** |
|
2019-09-29 |
16116 |
|
[긴급 문의] 종격 결절 --> 갑상선 결절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대학병원은 초음파 검사가 예약이 두세달 밀려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초음파는 의사가 직접 시행해야 하는 검사고 시간이 걸리는 검사라 하루에 소화하는 건수가 한계가 있거든요. 쇄골보다 아래쪽에 있는 갑상선 결절일 수도 있을 것 같고 갑상선과 관련되지 않은 결절일 수도 있겠네요. 제가 사진을 보지 못해서 확실한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겠어요. 두 달 정도 기다려도 병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불안하시다면면 제가 갑상선 초음파를 보고 필요하면 세침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는 여러번 봐도 방사선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문제는 없습니다. 초음파상 하부 갑상선에 문제가 없다고 한다면 흉부외과 진료를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갑상선 결절인지 아닌지 확실하게 배제한 후에 갑상선 결절이 아니라면 흉부외과로 가시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19-09-28 |
16115 |
|
유두염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나이를 고려할 때 염증이나 습진 등의 양성질환일 가능성이 높아보이나 진료를 보아야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유두자극이 계속되면 좋아지지 않으니 진료보실 때까지 그대로 두십시요. 연고나 항생제 등 치료가 필요합니다. 진료 보고 다시 말씀 드릴께요. 방문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19-09-20 |
16114 |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관확장증은 유두분비물이 없다면 걱정할 만한 질환은 아닙니다. 유관확장증인지 지방이식으로 인한 기름낭종인지는 초음파를 다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대학병원에 가지 않으셔도 될 것 같네요. 유방촬영상 미세석회화가 없었다고 하면 영상을 안 가지고 오셔도 됩니다. 방문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l** |
|
2019-09-19 |
16113 |
|
미세석회화 조직검사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미세석회화의 양상이나 범위 등을 확인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낭종이 다발적으로 산재하면 미세석회화도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경우도 많구요. 일부만 떼어서 하는 조직검사는 맘모톰으로 가능합니다. 맘모톰 조직검사상에서 암으로 판명된다면 치료적 수술을 진행하셔야 하구요. 전신마취 후에 절제수술을 하셨어도 암으로 판명되었다면 치료적 수술이 필요합니다. 유방촬영 사진 가지고 한 번 방문해 주십시요. 초음파상 미세석회화가 감별된다면 총조직검사도 시도해볼 수 있겠습니다. 제가 진료 보고 다시 말씀드릴께요. 감사합니다.
|
최** |
|
2019-09-15 |
16112 |
|
면역조직 화학검사
|
송** |
|
2019-09-14 |
16111 |
|
면역조직 화학검사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암일 확률은 면역검사가 필요하다고 의뢰하셨던 병리과 전문의의 의견이 중요합니다. 제가 진료본 것이 아니라 정확한 답변은 어렵겠네요. 일단 기다려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추가로 기수를 알기 위해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암세포인지 확실하지 않고 모양이 정형적인 세포모양이 아닐 경우 특수염색을 통해 암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명절연휴로 결과가 늦어지는 것 같네요. 특수염색까지 시행한 경우는 암이라 하더라도 분화도가 좋아 예후가 좋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송** |
|
2019-09-14 |
16110 |
|
유방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초음파 검사상에서 오른쪽 유방에 통증을 일으킬 만한 병변이 없었던 것 같네요. 유두주변의 통증은 움직이면서 유두와 속옷의 마찰에 의한 통증인 경우도 많습니다. 대부분은 한 쪽 근육을 많이 쓰기 때문에 한 쪽만 아프게 되구요. 활동하실 때나 운동하실 때 브래지어를 착용하여 많이 흔들리지 않게 해 주시고 상체를 많이 쓰실 경우는 바세린을 유두주위에 바르면 유두마찰을 줄일 수 있습니다. 왼쪽은 일단 크기가 작다면 총조직검사만 시행하시고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방암이 조금이라도 의심될 때는 맘모톰보다는 총조직검사로 일부만 떼어서 검사해봐야 됩니다. 통증이 계속된다면 진료를 다시 보셔야 할 것 같구요. 저한테 한 번 방문해 주셔도 되구요.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좋아지는 통증이 대부분이라 너무 불안해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저희병원은 9월 16일부터 진료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권** |
|
2019-09-07 |
16109 |
|
임신중에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에 의해 유방이 커지면서 멍울이 만져지거나 압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유방의 치밀도도 높아집니다. 자세나 근육을 쓰는 정도에 따라 한 쪽 유방에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어요. 일단 지켜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유방초음파를 보셔야 합니다. 임신 중에도 유방초음파는 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검사입니다. 방사선이 나오지 않구요. 한 달 정도 지켜보시고 통증이 계속된다면 한 번 방문해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이** |
|
2019-09-06 |
16108 |
|
감사드려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입니다. 유관확장증이란 유관 자체가 약간 늘어났다는 것이고 유즙분비는 말 그대로 유즙이 나오는 것입니다. 유즙 분비가 있을 경우 초음파를 보면 한 개의 관이나 여러 개의 관이 늘어나 있는 경우가 많아요. 짜지 마시고 지켜보십시요. 프로락틴 수치도 체크해보세요. 아마 괜찮을 겁니다. 나중에 저한테도 한 번 오세요.
|
문** |
|
2019-08-30 |
16107 |
|
유즙분비 빠른답변 기다립니다ㅜㅜ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뇌하수체 종양이 있을 때는 맑은 색의 분비물이 나오지 않고 젖 색깔로 나오며 양측 유방에 유두분비물이 나옵니다. 젖 분비물 양상을 보고 의심되었다고 하면 진료보신 선생님께서 프로락틴 검사를 권하셨을 겁니다. 뇌하수체 종양일 가능성은 없어보여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불안하시다면 프로락틴 수치는 피검사로 가능하니 검사해보셔도 됩니다. 또한 유두분비물은 짜면 더 나오니 유두자극을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짜지말고 지켜보십시요. 짜지 않았는데도 분비물 양이 늘어난다면 진료를 다시 보십시요.
추가로 답변 드릴께요. 지금 현재 뇌하수체 종양에 대해 불안한 마음이 크신 것 같습니다. 가까운 병원에서 피검사로 간단히 프로락틴 수치를 볼 수 있어요. 한 번 검사해 보시고 안심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문** |
|
2019-08-30 |
16106 |
|
갑상선암 치료 5년이 지났구요~서울로 이사와서 정기검진 진료 요청될까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피검사, 초음파 검사는 가능한데 흉부 X-ray는 구비되어 있지 않아요. 정기검진 및 진료는 가능합니다. 외래(555-6023)로 전화주시면 외래예약 도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차** |
|
2019-08-26 |
16105 |
|
섬유선종 맘모톰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섬유선종은 조직검사상 단순섬유선종인 경우 제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1.6cm 섬유선종은 추적초음파상 변화없었다고 하면 지켜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꼭 제거해야 하는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고 추적관찰상 크기가 크거나 모양이 좋지 않으면 제거해야 하지만 큰 변화없다면 놔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악성으로 바뀌는 혹이 아니고 제거한다고 하여도 가임기 동안에는 호르몬 자극으로 인해 또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새로 생긴 혹도 모양이 괜찮으면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한테 초음파 사진과 조직검사 결과지 가지고 한 번 오세요. 제가 사진 보고 상담해 드릴께요. 초음파 사진만 가지고 판단이 어려우면 병변 부위만 초음파 다시 봐야할 수 있어요. 진료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문** |
|
2019-08-23 |
16104 |
|
유방초음파는 모유 수유 직후에 하는게 좋은지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젖이 차 있는 상태보다는 수유 후 젖을 비우고 오시는 것이 진료에 도움이 되긴 합니다. 모유가 차 있는 상태에서는 초음파 하면서 압박을 하면 검사 중에 모유가 나와서 좀 젖을 수는 있어요. 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그냥 오셔도 됩니다. 제가 잘 볼께요. 초음파 후에 씻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유륜 주위만 물로 닦아낸 후에 모유로 유륜주변을 다시한 번 닦아내고 수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모유에는 항균작용이 있어요. 진료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19-08-22 |
16103 |
|
모유수유 중 통증 및 멍울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 초음파를 봐야 할 것 같네요. 기존에 있던 혹이 호르몬 주사나 임신, 출산하면서 변화를 일으킨 것일 수도 있고 단순히 수유하면서 발생한 통증일 수도 있습니다. 새로운 혹이 생겼을 수도 있구요. 한 달 있다가 진료보지 마시고 바로 진료를 보십시요. 신경쓰면 통증이 더 악화되고 자꾸 유방에 자극을 주게 되어 좋지 않습니다. 유방초음파로 확인을 해 보시고 안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19-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