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38 |
|
미세석회화 조직검사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미세석회화의 양상이나 범위 등을 확인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낭종이 다발적으로 산재하면 미세석회화도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경우도 많구요. 일부만 떼어서 하는 조직검사는 맘모톰으로 가능합니다. 맘모톰 조직검사상에서 암으로 판명된다면 치료적 수술을 진행하셔야 하구요. 전신마취 후에 절제수술을 하셨어도 암으로 판명되었다면 치료적 수술이 필요합니다. 유방촬영 사진 가지고 한 번 방문해 주십시요. 초음파상 미세석회화가 감별된다면 총조직검사도 시도해볼 수 있겠습니다. 제가 진료 보고 다시 말씀드릴께요. 감사합니다.
|
최** |
|
2019-09-15 |
16137 |
|
면역조직 화학검사
|
송** |
|
2019-09-14 |
16136 |
|
면역조직 화학검사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암일 확률은 면역검사가 필요하다고 의뢰하셨던 병리과 전문의의 의견이 중요합니다. 제가 진료본 것이 아니라 정확한 답변은 어렵겠네요. 일단 기다려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추가로 기수를 알기 위해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암세포인지 확실하지 않고 모양이 정형적인 세포모양이 아닐 경우 특수염색을 통해 암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명절연휴로 결과가 늦어지는 것 같네요. 특수염색까지 시행한 경우는 암이라 하더라도 분화도가 좋아 예후가 좋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송** |
|
2019-09-14 |
16135 |
|
유방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초음파 검사상에서 오른쪽 유방에 통증을 일으킬 만한 병변이 없었던 것 같네요. 유두주변의 통증은 움직이면서 유두와 속옷의 마찰에 의한 통증인 경우도 많습니다. 대부분은 한 쪽 근육을 많이 쓰기 때문에 한 쪽만 아프게 되구요. 활동하실 때나 운동하실 때 브래지어를 착용하여 많이 흔들리지 않게 해 주시고 상체를 많이 쓰실 경우는 바세린을 유두주위에 바르면 유두마찰을 줄일 수 있습니다. 왼쪽은 일단 크기가 작다면 총조직검사만 시행하시고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방암이 조금이라도 의심될 때는 맘모톰보다는 총조직검사로 일부만 떼어서 검사해봐야 됩니다. 통증이 계속된다면 진료를 다시 보셔야 할 것 같구요. 저한테 한 번 방문해 주셔도 되구요.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좋아지는 통증이 대부분이라 너무 불안해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저희병원은 9월 16일부터 진료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권** |
|
2019-09-07 |
16134 |
|
임신중에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에 의해 유방이 커지면서 멍울이 만져지거나 압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유방의 치밀도도 높아집니다. 자세나 근육을 쓰는 정도에 따라 한 쪽 유방에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어요. 일단 지켜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유방초음파를 보셔야 합니다. 임신 중에도 유방초음파는 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검사입니다. 방사선이 나오지 않구요. 한 달 정도 지켜보시고 통증이 계속된다면 한 번 방문해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이** |
|
2019-09-06 |
16133 |
|
감사드려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입니다. 유관확장증이란 유관 자체가 약간 늘어났다는 것이고 유즙분비는 말 그대로 유즙이 나오는 것입니다. 유즙 분비가 있을 경우 초음파를 보면 한 개의 관이나 여러 개의 관이 늘어나 있는 경우가 많아요. 짜지 마시고 지켜보십시요. 프로락틴 수치도 체크해보세요. 아마 괜찮을 겁니다. 나중에 저한테도 한 번 오세요.
|
문** |
|
2019-08-30 |
16132 |
|
유즙분비 빠른답변 기다립니다ㅜㅜ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뇌하수체 종양이 있을 때는 맑은 색의 분비물이 나오지 않고 젖 색깔로 나오며 양측 유방에 유두분비물이 나옵니다. 젖 분비물 양상을 보고 의심되었다고 하면 진료보신 선생님께서 프로락틴 검사를 권하셨을 겁니다. 뇌하수체 종양일 가능성은 없어보여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불안하시다면 프로락틴 수치는 피검사로 가능하니 검사해보셔도 됩니다. 또한 유두분비물은 짜면 더 나오니 유두자극을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짜지말고 지켜보십시요. 짜지 않았는데도 분비물 양이 늘어난다면 진료를 다시 보십시요.
추가로 답변 드릴께요. 지금 현재 뇌하수체 종양에 대해 불안한 마음이 크신 것 같습니다. 가까운 병원에서 피검사로 간단히 프로락틴 수치를 볼 수 있어요. 한 번 검사해 보시고 안심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문** |
|
2019-08-30 |
16131 |
|
갑상선암 치료 5년이 지났구요~서울로 이사와서 정기검진 진료 요청될까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피검사, 초음파 검사는 가능한데 흉부 X-ray는 구비되어 있지 않아요. 정기검진 및 진료는 가능합니다. 외래(555-6023)로 전화주시면 외래예약 도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차** |
|
2019-08-26 |
16130 |
|
섬유선종 맘모톰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섬유선종은 조직검사상 단순섬유선종인 경우 제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1.6cm 섬유선종은 추적초음파상 변화없었다고 하면 지켜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꼭 제거해야 하는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고 추적관찰상 크기가 크거나 모양이 좋지 않으면 제거해야 하지만 큰 변화없다면 놔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악성으로 바뀌는 혹이 아니고 제거한다고 하여도 가임기 동안에는 호르몬 자극으로 인해 또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새로 생긴 혹도 모양이 괜찮으면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한테 초음파 사진과 조직검사 결과지 가지고 한 번 오세요. 제가 사진 보고 상담해 드릴께요. 초음파 사진만 가지고 판단이 어려우면 병변 부위만 초음파 다시 봐야할 수 있어요. 진료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문** |
|
2019-08-23 |
16129 |
|
유방초음파는 모유 수유 직후에 하는게 좋은지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젖이 차 있는 상태보다는 수유 후 젖을 비우고 오시는 것이 진료에 도움이 되긴 합니다. 모유가 차 있는 상태에서는 초음파 하면서 압박을 하면 검사 중에 모유가 나와서 좀 젖을 수는 있어요. 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그냥 오셔도 됩니다. 제가 잘 볼께요. 초음파 후에 씻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유륜 주위만 물로 닦아낸 후에 모유로 유륜주변을 다시한 번 닦아내고 수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모유에는 항균작용이 있어요. 진료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19-08-22 |
16128 |
|
모유수유 중 통증 및 멍울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 초음파를 봐야 할 것 같네요. 기존에 있던 혹이 호르몬 주사나 임신, 출산하면서 변화를 일으킨 것일 수도 있고 단순히 수유하면서 발생한 통증일 수도 있습니다. 새로운 혹이 생겼을 수도 있구요. 한 달 있다가 진료보지 마시고 바로 진료를 보십시요. 신경쓰면 통증이 더 악화되고 자꾸 유방에 자극을 주게 되어 좋지 않습니다. 유방초음파로 확인을 해 보시고 안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19-08-20 |
16127 |
|
출산 후에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에 낭종은 유관이 국소적으로 늘어나면서 체액이 고이는 것인데 임신시에는 젖을 만들기 위해 유방의 소엽과 유관이 성장하게 됩니다. 이후 수유가 끝나면 유선이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러한 퇴행성 변화로 인해 기존의 낭종이나 결절들이 소실되기도 합니다. 리셋이 아니고요. 유방은 사춘기부터 폐경이후까지 나이에 따라, 또는 생리주기에 변화하는 내분비 기관입니다. 제가 유방촬영 사진을 본 것이 아니라 유방의 석회양상을 알기는 어렵습니다만 양성석회일 가능성이 높은 것 같네요. 유방의 양성석회는 나이에 따라 더 생기는 경향이 있고 출산 후에 생기기도 합니다. 유관내에 있던 분비물들이 변성을 일으켜서 석회가 되기도 하고 기존의 낭종이 시간이 지나면서 석회로 남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형적인 양성석회화라면 없어지지 않더라도 걱정하실 필요는 없고 악성으로 발전하는 것도 아닙니다. 다시 출산을 하더라도 없어질 가능성 보다는 그대로 있을 가능성이 더 높겠고 경우에 따라 더 생기기도 합니다. 1년에 한 번 정도는 정기적으로 검진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검진하게 되면 한 번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윤** |
|
2019-08-19 |
16126 |
|
번거롭게 해서 죄송합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원장입니다. 번거롭지 않으니 많이 아프면 꼭 오세요. 카페인이나 기름진 음식은 피하시구요. 이것저것 시도하다보면 반드시 좋아집니다. 제가 잘 보겠으니 너무 걱정은 마시구요. 또 뵐께요.
|
한** |
|
2019-08-19 |
16125 |
|
통증지속때문에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통증이 생각보다 오래가네요. 저한테 한 번 다시 오시면 안될까요? 다시 한 번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주변에 작은 낭종들 더 있었는데 그 낭종들이 자극증상을 일으키는 건지 모르겠어요. 염증은 확실히 없었고 멍도 별로 없어서 금방 좋아지실 줄 알았는데.. 다시 확인해보고 말씀드릴께요. 번거로우시겠지만 한 번 더 방문해 주세요. 저한테 오실 때까지 아플 때는 소염진통제 복용하시고 통증 부위가 눌리거나 건드려지지 않도록 신경써 주세요. 통증부위를 자극을 주면 통증이 더 악화되거든요. 방문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한** |
|
2019-08-17 |
16124 |
|
단유약. 단유마사지 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팔로델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젖분비호르몬을 감소시켜 젖양을 줄이는 약입니다. 유방크기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어요. 팔로델은 기립성 저혈압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처방을 잘 안하긴 합니다. 현재 부작용이 없다면 좀 더 드셔도 될 것 같네요. 유선염에 단유약을 드시는 것은 관계가 없어요. 염증과 관계없이 수유계획이 없다면 팔로델을 드시고 그렇지 않다면 중단하시면 됩니다. 다른 궁금한 사항은 진료시에 말씀드릴께요. 감사합니다.
|
김** |
|
2019-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