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64 |
유방질환 |
유방 혈성분비물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혈성 분비물 때문에 불안하실 것 같습니다. 지금은 수술하신 지 2주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초음파 검사 하는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수술 부위에 혈종이나 장액종 확인 하는 정도일 거구요. 수술시에 혈액이 고여있다가 유두로 나올 수도 있는 거라 일단은 지켜보셔야 할 것 같아요. 수술 후 최소 6개월정도는 지켜보고 초음파를 다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MRI 는 암이 아닌 경우 급여가 되지 않아서 고위험이 아닌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시행하지는 않습니다. 비정형 유관증식증과 관내 유두종은 이미 제거가 된 상태로 봐야 할 것 같구요. 서울에 있는 유방외과에 오신다고 해도 지금은 지켜보자고 할 것 같아요. 불안하시겠지만 나오는 양이 많지 않고 묻어있는 정도라면 자극주지 마시고 좀 지켜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손** |
|
2024-08-29 |
16463 |
유방질환 |
오른쪽 유방 멍울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작년 영상을 다시 봤는데 발달된 유선 조직 외에는 특별한 이상소견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물혹은 몇 개 있지만 만져지지는 않을 것 같구요. 외상방쪽에는 유방 실질이 다른 부위보다 더 많아서 정상 실질도 단단하게 만져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암은 물컹한 느낌보다는 더 단단합니다.하지만 1년 이내에도 진행된 암이 발견되기도 하니까 뭔가 만져질 때는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져진다는 부위만 초음파를 볼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다른 데는 한국 오실 때 보셔도 되는데 만져지는 부위는 내년까지 기다리시기는 좀 불안하실 것 같기도 하구요. 만져지는 느낌이 나면 자꾸 자극을 주게 되고 이런 자극으로 인해 통증이 생기게 되면 또 불안해지거든요. 한 번 보고 안심하시는 게 좋습니다. 거기서 그 부위만 한 번 진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전** |
|
2024-08-28 |
16462 |
유방질환 |
유즙 다시 문의 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자발적으로 나오는 분비물은 임상적 의미가 있지만 힘줘서 짜서 나오는 분비물은 병적인 분비물일 가능성이 낮아요. 짜지 마시고 지켜보십시요. 자극주면 분비물 양이 많아집니다. 걱정마시고 진료시 뵙겠습니다.
|
박** |
|
2024-08-19 |
16461 |
유방암|유방질환 |
유방암 가능성 있나요?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방질환보다는 피지낭종일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눌리거나 자극주시면 커집니다. 계속 부어오르면 진료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브래지어에 눌리지 않게 해 주십시요 유방암은 대부분 통증이 없습니다. 암일 가능성은 낮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문** |
|
2024-08-19 |
16460 |
맘모톰|유방질환 |
유방암가능성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관내 유두종이 수술 후 유방암으로 upgrade 될 가능성은 나이나 증상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40세 이하인 경우에는 1% 이내입니다. 최근에는 데이터들이 많이 쌓여서 대부분의 유두종은 맘모톰 수술로 대체되고 있고 크기가 작고 다발성인 경우는 수술하지 않고 지켜보기도 합니다. 맘모톰으로 제거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
박** |
|
2024-08-17 |
16459 |
유방질환 |
오른쪽 가슴 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방통증은 유방 질환과 관계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멍울이 만져지거나 빨개지거나 부어 있다면 오셔야 하지만 찌릿한 통증만 있다면 안오셔도 됩니다. 체중변화 있는지 살펴봐주시고 카페인 복용, 수면 부족, 근육통, 스트레스, 생리주기, 여러가지 자극 등으로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말 잘 쉬시고 생리 끝날 때까지 기다려보시면 대부분 좋아집니다. 건드리거나 자극주지 마시고 통증 있을 때는 브래지어를 착용해서 지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24-08-16 |
16458 |
유방질환 |
겨드랑이 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방, 겨드랑이 통증과 유방질환은 대부분 관계가 없습니다. 멍울이 만져지거나 부어오른다면 유방이나 겨드랑이의 원인일 수 있지만 만져지는 멍울이 없고 별다른 변화가 없다면 유방 때문은 아닌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자극( 수면부족, 엎드린 자세, 누르는 자극, 생리주기, 체중변화, 카페인 등) 에 의해 유방 통증이 유발될 수 있어서 될 수 있으면 자극주지 마시고 지켜보시면 대부분 좋아집니다. 유방 초음파는 검사 시기 맞춰서 보셔도 됩니다. 뭔가 만져진다면 진료를 보셔야 합니다. 통증이 있을 때는 엎드린 자세를 피하셔야 합니다. 통증을 유발하는 자극을 최대한 피하시고 유방이 흔들리지 않도록 브래지어로 지지해 주는 것도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생리 끝날 때까지는 대부분 좋아집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24-08-15 |
16457 |
유방질환 |
상담 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결절이 많으신 분들이 불안도가 높긴 합니다. 모든 혹들을 다 조직검사하여 확인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불필요합니다. 엽상종양과 비정형 유관 증식증도 위험 병변이긴 하지만 암은 아닙니다. 다른 종양에 비해서는 재발 위험도가 있긴 하지만 10% 이내입니다. 만약 재발한다 해도 암이 아니기 때문에 수술을 하면 생명에 지장이 있는 질환은 아닙니다. 양성 엽상종양은 재발해도 대부분 양성 엽상종이고 비정형 유관증식증은 간혹 상피내암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피내암도 전암병변이지 암은 아닙니다.) 침윤성 암으로 재발하는 경우는 흔하지는 않아요. 나머지 결절들은 크기가 작다면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고 불안하다면 모양이 좋지 않은 결절들에 대해서 조직검사 해보기도 합니다. 혹들이 10개이상 있는 분들은 그만큼 오진의 위험도 높아지니 정기적인 유방 초음파 검사는 꼭 필요합니다. 6개월 후에 검사하시면 되구요. 만져지지 않았던 부위에 멍울이 만져지는 경우에는 바로 진료를 보셔야 됩니다. 불편한 증상이 없다면 6개월후 추적관찰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상** |
|
2024-08-13 |
16456 |
유방질환 |
유륜혹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총조직검사결과 유두종이나 섬유선종으로 나왔다면 암은 아닙니다. 피부와 너무 가깝다면 절개하여 제거하시는 것이 좋을 수도 있고 피부와 좀 떨어져 있다면 맘모톰으로 제거하셔도 됩니다. 크기가 작고 촉진상 변화가 없다면 지켜보기도 하는데요. 암은 아니니 진료보신 선생님과 상의하여 어떻게 하실지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유 |
|
2024-08-12 |
16455 |
유방암 |
겨드랑이 임파선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에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겨드랑이 임프절은 반응성 림프절입니다. 더 커진다면 조직검사를 해 봐야 하지만 모양이 괜찮고 6개월동안 커지지 않았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팔을 많이 사용한다거나 면역질환, 염증 등 있으면 커질 수 있습니다.) 지켜보셔도 될 것 같아요. 진료시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4-07-30 |
16454 |
유방질환 |
유방통 추가 질문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유방통증은 몸 컨디션에 따라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유방에 만져지는 멍울이 있다던가 발적이나 피부변화, 유두 분비물 등이 동반된다면 진료를 꼭 보셔야 합니다. 유방이 전체적으로 붓고 통증이 있다면 유방과 관련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유방종양은 대부분 통증이 없어요. 불안하시다면 진료를 한 번 보시고 안심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ㅇ** |
|
2024-07-28 |
16453 |
유방질환 |
유방통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방 통증과 유방 질환은 대부분 관계가 없습니다. 생리주기와 연관된 주기적인 통증도 있고 생리주기와 관계없이 생기는 통증도 있습니다. 배란기에는 유방에 부종이 생겨 민감해지구요. 또한 근골격계 영향, 카페인, 체중변화, 육체활동, 수면부족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유방이 민감해지면서 사소한 자극에 의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ㅇ** |
|
2024-07-24 |
16452 |
맘모톰|유방질환 |
문의드려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0.8cm혹을 총 조직검사 시에 관내 유두종으로 나오고 절개수술시에 섬유낭성 변화로 나오는 경우가 흔하지는 않습니다. 혹 자체가 크기가 작아서 총조직검사 할 때 유두종이 다 나왔을 수도 있고 유관내에 증식성 병변인데 총조직검사에서는 유두종이라고 판정했을 수도 있습니다. 유두종은 조직이 잘 부서지기 때문에 관내 증식증과 유두종이 총검사 만으로는 구별이 어려울 수 있어요. 절개수술까지 하셨다면 절개수술 결과가 정확합니다. 이런 경우 오진이라고 보지는 않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수술을 하신 거구요. 총조직검사에서 결과가 애매하게 나오는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 떼어내게 됩니다. 0.8cm 였다면 맘모톰만으로도 충분하긴 합니다. 수술 전 진단명은 수술하시는 선생님께 물어봐야 합니다. 진단명은 제가 작성하는 게 아니라 수술하시는 선생님께서 작성하시는 거니 제가 답변이 어려워요. 맘모톰 수술 후에도 하루 이틀 지나면 혹의 크기나 개수, 출혈 여부, 통증 지속 여부,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직장생활 큰 문제없이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4-07-23 |
16451 |
맘모톰|유방질환 |
문의드려요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섬유낭성 변화는 정상 실질의 변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마도 초음파상에서 모양이 좋지 않아서 수술로 제거하신 것 같네요. 절개를 크게 하지 않고 모양을 살려서 수술을 잘 하신 것 같아요. 수술시에 지혈을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쓰는데 그 과정에서 조직 손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병리가 애매하게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걱정마시고 정기검진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문** |
|
2024-07-19 |
16450 |
유방암|유방질환 |
유방암 가능성 있나요?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연고 바르고 지켜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피부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방암의 전조증상은 아닙니다.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보습 잘 해주시고 유방 자극을 피해주세요. 멍울 만져진다면 빨라 진료봐야 하지만 유륜에 딱지만 있다면 내년에 시기 맞춰서 보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