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60 |
맘모톰 |
맘모톰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섬유선종이라고 꼭 제거해야 되는 것은 아닙니다. 만져지거나 통증 동반하는 섬유선종 또는 조직검사상 단순 섬유선종이 아닌 경우에는 제거를 고려해 보시구요. 오른쪽 1cm 섬유선종은 만져질 것 같진 않아서 그냥 두셔도 될 것 같습니다. 2.1cm 섬유선종은 제거한다면 비급여 비용이 180-190 사이로 나올 것 같습니다. 3개 다 제거해야 한다면 80만원 정도 추가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조** |
|
2025-01-07 |
16559 |
유방암|유방질환 |
겨드랑이 통증 관련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겨드랑이 멍울을 봤을 때 혈관에 염증이 있는 걸로 보인다면 지켜보셔도 됩니다. 타이레놀 같은 소염 진통제 드시고 팔을 너무 많이 사용하지 마시구요. 특히 무거운 물건 드는 것은 조심하셔야 할 것 같구요. 스트레칭 정도만 하십시요. 재활의학과 치료는 계속 받으셔도 됩니다. 아니면 다니시는 재활의학과에 진통제 처방해 달라고 해서 드셔보셔도 됩니다. 한 달 정도 기다리시면 대부분 좋아집니다. 표피낭이나 피지낭일 수도 있는데 일단 건드리지 마시고 뜨거운 물에 오래 닿지 않게 찜질방이나 사우나는 가시면 안됩니다. 초음파에서 별다른 소견이 없었다면 저한테 진료 다시 안 보셔도 됩니다. 저한테 오셔도 통증은 해결이 안되어요. 멍울이 계속 커지고 빨개진다면 근처 외과에서 진료를 한 번 더 보십시요. 멍울 부위는 건드리면 통증이 심해지기 때문에 손이 닿지 않게 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최** |
|
2025-01-03 |
16558 |
유방질환 |
유두 혈성분비물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나이를 고려할 때는 유방암일 가능성은 낮지만 진료는 한 번 보셔야 할 것 같아요. 유두 혈성 분비물의 가장 흔한 원인은 관내 유두종입니다. 유방 초음파 검사를 한 번 해 보셔야 하구요. 분비물 일으키는 병변이 보인다면 조직검사도 필요합니다. 일단 유방외과 진료를 보셔야 해요. 머리가 어지럽고 잠이 많은 것은 혈성 분비물과 관계없는 증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최** |
|
2024-12-20 |
16557 |
유방암|유방질환 |
개화성 유관증식증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0.8cm 유관증식증은 맘모톰으로 수술하셔도 되는데요. 면역 염색까지 시행한 경우라면 유두종이나 다른 병변이 섞여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암이 섞여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아요. 시술이 간단하고 바늘 내에 들어있는 칼 길이가 2cm는 되기 때문에 몇 번 깎으면 없어집니다. 0.8cm 결절은 만져지지도 않고 외관으로 찾기가 어려워서 초음파 유도하에 제거하시는 게 가장 깔끔합니다. 만약 맘모톰 하기가 싫으시다면 외과적 수술보다는 지켜보시다가 만져지거나 커진다면 수술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크기가 작아 수술로 가게되면 병변이 안보여서 불필요하게 많이 제거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소마취로 찾아가면서 수술하기는 힘들겠구요. 총조직검사를 다시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것 같구요. 다 떼어서 검사해야 정확합니다. 감사합니다.
|
궁** |
|
2024-12-18 |
16556 |
유방질환 |
미세석회 증가로 인한 스테레오탁틱 검사 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저희 병원에는 스테레오 탁틱 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구요. 미세석회화가 약간 증가했다고 해서 모두 암은 아닙니다. 기계 차이로 미세석회화가 증가되어 보일 수도 있어요. 2년 이상된 미세석회화이고 초음파상 뚜렷한 병변이 없다면 좀 더 지켜보셔도 될 것 같긴 합니다. 암이 아닌 이상 대학병원 진료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언주역에 있는 리리유 의원에 스테레오 탁틱 기계가 있어요.(이은숙 원장님 진료 잘 보십니다.) 그쪽 병원에 문의해 보시고 진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24-12-16 |
16555 |
유방질환 |
유륜 피지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륜에는 몽고메리샘이라고 하는 피지 주머니 들이 있는데요. 건조하거나 습하거나 여러 자극에 의해 커지거나 작아집니다. 자극을 주시면 크기가 더 커질 수 있고 피부 상재균이 들어가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요. 집에 항생제 연고 있다면 발라주시고 자극주지 마십시요. 딱지 없어질 때까지는 연고 바르시고 이후에는 보습 잘 해 주시면 됩니다. 검사하러는 안오셔도 되겠습니다. 계속 커지고 부어오르면 항생제 드셔야 할 수 있어서 오셔야 해요. 아마 괜찮아질 것 같습니다. 샤워할 때 비누를 너무 많이 쓰거나 거친 타월로 문지르는 것을 피해주시고 찜질방 사우나 등 습한 환경에 오래 노출되는 것은 피하십시요. 행복한 연말 되세요. 감사합니다.
|
장** |
|
2024-12-11 |
16554 |
유방질환 |
유방질환으로 문의 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외래 02-555-6023 전화주시면 예약해 드리겠습니다. 모양은 나쁘지 않다면 category 4a 정도 되는 병변일 것 같고 악성 위험도는 2-10% 정도 되실 것 같아요. 내원 당일 초음파 다시 보셔야 하고 조직검사 필요하면 바로 시행하겠습니다. 문의주셔서 감사합니다.
|
장** |
|
2024-11-25 |
16553 |
유방암|맘모톰 |
맘모톰 후 조직검사에서 비정형세포 발견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수술 후 다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간혹 양성 결절 제거후 비정형 세포가 있는 케이스가 있어요. 비정형 세포는 암이 아닙니다. 추가적인 시술은 필요하지 않구요.
추적관찰 해보면 대부분 환자들 재발 없습니다. 6개월후 보시면 됩니다.
|
현 |
|
2024-11-19 |
16552 |
유방질환 |
관내유두종 수술후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두종은 유두 근처에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륜으로 절개를 하게 되고 특히나 절개를 하게 되면 수술부위는 민감해집니다. 절개시에 유방을 지배하는 감각 신경 등이 같이 손상되기 때문인데요. 빨갛게 부어오르거나 열감이 없다면 염증은 아닙니다. 유두와 옷과의 마찰을 피해주시고 브래지어를 착용해주세요. 유방이 건조하지 않게 보습 잘 해주시고 통증이 심할 때는 소염진통제 복용하시면 됩니다. 될 수 있으면 자극주시면 안됩니다. 생리주기나 카페인, 스트레스, 상체운동, 수면 부족 등도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지켜보셔도 됩니다.
|
안** |
|
2024-11-08 |
16551 |
유방질환 |
수술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C3 병변이라면 악성 가능성이 2% 미만으로 높지는 않습니다. 크기가 커졌다면 조직검사를 해 보는 건 나쁘지 않구요. 좌측 유두분비물은 제가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네요. 수술한지 얼마 안되셨다면 좀 지켜보시는 것이 어떨지요. 수술 후에는 수술시에 혈종으로 인해 고여있던 게 유두를 통해서 나올 수 있거든요. 보통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6개월정도는 지켜봐요. 자료나 영상 가지고 저한테 오시면 제가 한번 봐드릴 수 있어요. 예약 후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손 |
|
2024-10-29 |
16550 |
유방암 |
가슴 멍울과 림프절 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입니다. 지방이식 후에 반복적으로 염증이 생기는 게 아닐까 생각이 드는데요. 유방암 가능성은 낮은 것 같습니다. 6월에 보셨다면 현재는 좀 지켜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모양이 안 좋아지는 혹이 있거나 만져지는 멍울이 계속 커진다면 조직검사를 해야합니다. 모든 혹들을 다 조직 검사할 수는 없으니 꾸준히 검진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4-10-21 |
16549 |
유방질환 |
유두분비물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혈성분비물이 계속된다면 유관내에 병변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통 수술 후 일시적으로는 나올 수 있지만 7개월내내 피가난다면 원인을 다시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초음파를 다시 보고 분비물이 나올 만한 병변이 있는지 봐야 할 것 같고 필요하다면 조직검사를 다시 해 봐야 합니다. 일단 초음파 검사 후에 담당교수님과 다시 상의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손** |
|
2024-10-14 |
16548 |
유방암 |
조직검사 후 관내유두종 의심?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두상 병변은 병변을 제거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총조직검사에서 비정형세포가 없었고 유두분비물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지켜보기도 합니다.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총조직검사하면서 소실되기도 하구요. 하지만 1cm 이상되는 유두종이라면 제거하는 것이 좋을 것 같고 최근에는 외과적 절제술보다는 맘모톰 수술로 대부분 대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4-10-13 |
16547 |
맘모톰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세포검사가 아니라 총조직검사를 하신 거라면 조직병리 검사지에 정확히 어떤 혹인지 나와요. 섬유낭성 변화, 섬유선종,경화성 선증 등은 증상이 없다면 제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유두종이나 비정형 세포가 발견되었다면 제거를 하셔야 할 것 같구요. 모양이 예쁘지 않아서 조직검사를 하신 것이고 조직검사 결과가 괜찮다면 일단은 지켜보셔도 됩니다. 딱딱하게 만져진다거나 통증을 동반한다면 제거를 고려해 봐야 할 것 같구요. 제가 진료보지 않아서 정확한 답변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
고** |
|
2024-10-11 |
16546 |
유방암 |
찌릿한 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현재의 통증은 유방 질환과는 관련이 없어보입니다. 완경 이후의 유방 통증은 근골격계 통증, 체중 변화, 스트레스, 수면장애 등과 관련된 경우가 많습니다. 올 초에 유방 초음파까지 하셨다면 따로 검사받지 않으셔도 되고 지켜보셔도 됩니다. 멍울이 만져지거나 유방이 부어오른다면 진료를 꼭 보셔야 하구요. 치밀유방이고 유방 초음파 검사 하신지 1년이상 지났다면 유방 초음파 검진을 받고 안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통증 부위 자극주지 마십시요. 감사합니다.
|
유** |
|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