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e4f247bb2e3a318c94095fc986e05c_1598627367_9428.jpg


Total 16,552건 45 페이지
원장님 1:1 상담 목록
번호 진료과목 제목 작성자 문의상태 작성일
15892 추가질문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이전 결절이 9시방향이고 새로생긴 결절이 3시방향이라면 재발이라기 보다는 새로생긴 것 같습니다.

담당선생님께서 수술부위에 생겼다고 얘기하지 않았다고 하면 재발은 아닙니다.

새로 생긴 결절이라면 안 떼고 지켜보시는 것이 더 나아요.

6개월 간격으로 지켜보다가 커지면 떼어내셔도 되겠습니다.

섬유선종의 엽상 패턴은 그냥 섬유선종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엽상 패턴이 있으면 빨리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떼어내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엽상종은 아닙니다.

엽샹종양도 여러 단계가 있는데 양성 엽상 종양의 경우는 섬유선종과 비슷하고 재발해도 악성으로 재발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불안해마시고 담당선생님 의견을 따르는 것이 좋겠습니다.

불안하시다면 저한테 한 번 방문해주세요. ( 초음파 사진, 조직검사 결과지 가지고 오세요)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민** 2018-01-20
15891 맘모톰 수술 가능한가요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조직검사상 상피내암으로 진단된 경우는 맘모톰 수술의 금기사항에 해당됩니다.

흉터가 남더라도 절제수술을 하셔야 합니다.

맘모톰 수술은 암이 아닌 양성결절일 경우에만 적응이 됩니다.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조** 2018-01-15
15890 조직검사결과 해석 좀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모두 섬유선종이나 4번 혹은 엽상 패턴을 보이는 섬유선종이네요.

세포밀도가 높은 섬유선종인 경우에는 양성 엽상종양과 세포학적으로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요.

맘모톰으로 완전절제가 되었다고 하면 양성 엽상종양이라도 지켜보셔도 됩니다.

하지만 현재 4번혹 근처에 다른 혹이 생겼다고 하면 한 번 더 제거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세포밀도가 높고 엽상 패턴을 가졌다고 하면 더 커지기 전에 떼어내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방 수술 후 유방통은 시간이 지나면서 좋아지게 되니 너무 걱정마세요.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민** 2018-01-14
15889 선종증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결절이 10개정도의 다발성이라면 전부 완벽히 제거하기는 어렵습니다.

제거한다고 해도 이러한 결절들은 여성 호르몬 자극으로 생기는 혹들이기 때문에

생리를 하는 가임기동안에는 또 생길 확률도 높구요. 폐경이후에 작은 결절들은 자연스럽게 소실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보통은 다발성 섬유선종이 있을 때 모두 제거하기보다는  큰 결절들만 제거하고

나머지는 관찰하는 경우가 더 많아요. 맘모톰 제거는 가능합니다.

아마도 조직검사 한 병원에서 맘모톰 제거를 말씀하셨을 거에요.

선증이라고 해도 경화성 선증이 아니라면 지켜보셔도 됩니다.

악성위험도가 거의 없는 병변들입니다.

불안하시다면 모양이나 크기가 애매한 결절들은 맘모톰으로 제거하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전부 제거해도 또 생기는 경우가 많아요.

초음파 사진과 조직검사 결과지 가지고 한 번 방문해 주세요.

초음파는 검사하는 사람에 따라 판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시 보셔야 합니다.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ㅇ** 2018-01-13
15888 멍울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인터넷 예약이나 전화예약 ( 02-555-6023 )으로 예약가능합니다.

가슴에 멍울이 잡힌다면 유방초음파 검사를 시행후에 총조직검사를 먼저 해야 해요.

조직검사 결과를 보고 맘모톰 수술이 가능한지 결정하게 됩니다.

한 번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김** 2018-01-09
15887 왼쪽유방통증과 붓기증상이 있습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염증만 생기지 않는다면 지켜보셔도 될 것 같아요.

피부에 열감이 있고 빨갛게 색깔변화가 보인다면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합니다.

단순히 부딪쳐서 생기는 통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됩니다.

별다른 치료는 필요없고 소염진통제( 타이레놀, 게보린 등) 정도만 복용해 주시면 되요.

아픈부위에 자극을 주지 마시고 옷으로 아픈부위가 눌리지 않도록 해 주세요.

유방통에는 스포츠 브라가 좋습니다.

멍울이 만져지거나 통증, 부종이 한 달 이상 지속된다면 유방초음파 검사는 꼭 필요합니다.

유방 검진한 기왕력이 없다면 검진도 할 겸 유방초음파를 한 번 받아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 2018-01-09
15886 겨드랑이 멍울 관련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말씀하신 증상으로 보아 부유방 조직일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하지만 초음파로 한 번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방초음파 보신지 1년이상 되었으니 왼쪽 유방의 결절도 확인 할 겸 유방검진을 한 번

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한 번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이** 2018-01-04
15885 지방이식 2년 후 멍울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지방이식과 섬유선종 생기는 것은 관련이 없어요.

지방이식 후에 지방괴사로 인한 낭종들이 다발성으로 생기는 경우는 흔히 있습니다.

일단 증상이 없더라도 2cm 이상의 큰 결절들은 조직검사를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조직검사상 섬유선종이면 지켜볼 수도 있구요.

지방이식 후에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겠지만 저희 병원에 방문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멍울이 생겨서 오시는 분들이 많아요. 아마도 잘 생착되신 분들은 병원에 방문하지 않으시겠지요.

유방통의 원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섬유선종으로 인해 아프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 2018-01-04
15884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김** 2017-11-23
15883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조직검사 한 부위에서 나오는 것은 혈액도 있지만 아마도 체액이 섞여있어서 양이 많은 것 같습니다.

종양이 커지면서 종양 주위에 조직이 잘 손상되며 이로 인한  염증이 일어나는데  종양이 치료되지 않는 한은 상처회복이 되지 않아요.

현재로서는 나오는 혈액이나 체액을 막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출혈이 지속되면 빈혈이 동반되기 때문에 상처치유가 더 안 되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거즈를 두껍게 대고 자주 갈아 청결하게 유지하시구요,  빈혈이 동반되므로 철분제 복용이나 필요시 수혈 등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영양상태가 좋다면 나오는 양이 좀 줄어들 수도 있겠습니다.

큰 도움이 못되어 드려서 죄송하네요.




김** 2017-11-22
15882 문의드립니다!
김** 2017-11-20
15881 지방종제거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제거 가능합니다.

한 번 방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백** 2017-11-20
15880 문의 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이전의 외상으로 예민해진 상태에서 유방에 자극을 주면 통증이 계속됩니다.

유방자극을 최대한 피하시고 통증이 심하면 온찜질을 하거나  소염진통제를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옷으로 눌리거나 주무실 때 눌리는 자극도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년이내에 유방검진한 적이 없다면 유방검진도 한 번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되셨기를 바래요.

감사합니다.



a** 2017-11-08
15879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여성호르몬 제재는 유방에 증식성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요.

결절의 수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성호르몬에 대한 유방의 민감도가 사람에 따라 다르고 또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얼마나 영향을 받을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단기간의 호르몬제재가 큰 영향을 미칠 것 같진 않습니다.

장기적으로 여성호르몬 제재를 6개월 이상 복용하셔야 되는 경우에는 유방검진을 소홀히 하시면 안됩니다. 추적관찰 중에 크기가 증가하거나 수가 늘어나면 호르몬제재 중단을 고려해야 하구요.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신** 2017-10-30
15878 진료확인서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통증이 좋아졌다니 저도 기쁩니다.

친구분 통해서 데스크로 연락 한 번 주세요.( 02-555-6023)

미리 전화주시면 서류 준비해 놓을께요.

다음 방문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원칙적으로는 본인이외에는 서류가 발급이 안되어요. 게시물은 일단 삭제할께요.)

상** 2017-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