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32 |
|
가슴의 몽우리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3세 여성이시고 유방의 종양을 진단 받으셨는데 생리 후에 검사하였더니 없어지셨다구요. 유방의 종양은 절대 없어지지 않습니다. 아마도 생리 전에 검사하여 초음파상 오진을 ㅎ였거나 물혹인 경우 없어질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 검사가 정상이라면 약을 왜 드시는지 모르겠습니다. 갑상선의 종양은 암인지 검사해 보셨는지요? 암이 아니라면 약을 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담당 선생님과 상의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6-10-13 |
9731 |
|
섬유선종에 대해서..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0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여러개의 종양을 진단 받으셨군요. 젊으시므로 유방암의 가능성은 드물구요.. 하지만 양성 종양도 호르몬의 영향으로 빨리 자랄 수 있고 드물게 암ㅇ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진료 후 맘모톰 수술로 제거수술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하신 후 출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로 종양의 갯수 모양을 자세히 진단하신 후 수술상담 해 드리겠습니다. 종종 종양의 숫자와 진단명이 달라지거든요..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6-10-13 |
9730 |
|
생리후...가슴이...아파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유방통이 있으셔서 걱정이시군요. 수유를 하지 않아도 유선염에 걸릴 수 있습니다. 주기적인유방검진으로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으로 확인해 보시고 안심하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6-10-12 |
9729 |
|
임신중인데 젖몸살처럼...주먹만한 멍울이..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1세 여성이시고 임신 중이시고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시는군요.. 임신 중에도 유선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임신 중이므로 유방촬영술은 피하시고 의사의 촉진, ㅊ초음파검사로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6-10-12 |
9728 |
|
검사 문의입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5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커지고 멍울이 만져지시는군요. 대부분의 종양은 암이 아닌 양성 종양이나 드물게 암일 수 있고 양성 종양도 빨리 자랄 수 있으니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으로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진료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Y** |
|
2006-10-12 |
9727 |
|
수술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7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3cm의 종양을 진단 받으셨고 수술을 원하시는군요. 맘모톰 수술은 흡임술이 아니고 유방의 종양을 모두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그러나 전신마취 입원은 필요없고 외래에서 부분마취로 하는 수술이랍니다. 3mm상처가 남지만 시간이 지나면 흐려집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수술상담 후 예약해 드립니다. 수술 후 진단서는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석** |
|
2006-10-12 |
9726 |
|
혹이 안없어져서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1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종양을 진단 받으셨고 조직검사를 받으셨군요. 총조직검사는 종양을 모두 제거하는 수술이 아닙니다. 일부 조직을 떼어 검사하는 것이므로 종양은 당연히 남아 있습니다. 양성 종양은 너무 다양하여 제가 병명을 모르므로 담당 선생님께 여쭤 보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최** |
|
2006-10-12 |
9725 |
|
유전자 변형이 된 조직이 있다면 그 조직만 없애면 되나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3세 여성이시고 유방암 가족력이 있으시구요. 유방에 종양이 진단되어 조직검사를 한 결과 비정형세포증식증을 진단 받으신 것 같습니다. 만약 종양을 모두 제거하였고 일부 비정형세포가 진단되었다면 추적검사를 하셔도 됩니다. 그러나 병변이 남아있다면 비정형세포증식증은 암을 동반할 확율이 있으므로 주위 정상조직까지 포함하여 수술을 하신 후 정확한 조직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유방을 모두 제거하시는 것은 너무 혹독한 일인 것 같습니다. 다만 병변이 유방의 여기저기에 너무 많이 퍼져있는 경우에는 어쩔수 없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일 것 같습니다.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셔서 결정하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H** |
|
2006-10-12 |
9724 |
|
유방이 아퍼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5세 여성이시고 유방통이 있으시고 반복되시는군요. 호르몬의 영향일 수 있으나 생리 주기와 관계없이 계속 불편하시다면 혹시 내부에 이상 또는 멍울이 있을 수 있으니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으로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6-10-12 |
9723 |
|
검사비 말인데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유방암 검사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그리고 유방촬영술을 하실 수 있습니다. 필요시 바로 조직검사를 하실 수 있구요.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여** |
|
2006-10-12 |
9722 |
|
검사를 받고 싶은데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8세 여성이시고 유방진료를 원하시는군요. 전에 종양수술을 받으신 적이 있다니 꼭 꾸준한 검진을 받으시고 안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하구요. 금요일은 8시까지 진료가 있으나 저희 병원은 예약제로 운영되니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드림
|
김** |
|
2006-10-11 |
9721 |
|
양성종양 결과에 대하여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종양을 진단 받으셨고 세포검사를 받으셨지요. 간단한 검사이므로 100% 정확한 검사는 아니랍니다. 자라는 양성 종양이 의심되므로 수술을 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학병원에서 진료받으시는 것은 본인의 자유이니 2차 의견을 들어보시면 좋구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6-10-11 |
9720 |
|
섬유선종 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5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섬유선종 등이 많이 생기시는군요. 전에 섬유선종 진단을 받으셨다고 새로 생기는 종양이 모두 섬유선종은 ㅇ아닙니다. 새로운 종양이 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답니다. 또 섬유선종이라도 해도 종양의 크기가 커지면서 암ㅇ으로 변할 수 있답니다. 1.9cm의 종양이 새로 생겼다면 작은 크기의 종양은 아니므로 조직검사 또는 맘모톰 수술로 제거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리구요. 모든 수술상담은 진료, 즉 의사의 촉진, 초음파검사 후에 가능하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6-10-10 |
9719 |
|
부유방 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부유방 수술을 원하시는군요 부유방으로 진단되면 N60이 코드 번호입니다. 부유방 수술은 외과적인 수술 아니면 맘모톰 수술방법이 있습니다. 맘모톰 수술은 부분마취로 가능하나 바늘로 하는 것이므로 2차례 나누어 수술할 수도 있습니다. 왜 간호사들이 시술을 안한다고 한지는 잘 모르겠으나 제가 사과 드리구요.. 수술상담 원하시면 555-6023으로 전화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6-10-10 |
9718 |
|
이런경우는 왜그런건가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4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시고 통증도 있으시군요.. 한쪽 유방만 커지고 이상증상이 있다면 혹시 내부에 이상 또는 멍울이 있을 수 있으니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으로 확인해 보세요. 결핵을 앓은 경력도 있다면 혹시 결핵성 염증의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원** |
|
2006-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