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49 |
유방질환 |
안녕하세요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유즙이 분비되는 대부분의 원인은 암이 아닙니다. 실제 유관에서 나오는 분비물인지 아니면 유두에서만 묻어나오는 건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병적인 분비물일 가능성 보다는 생리적 분비물일 가능성이 더 높아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진료를 한 번 보시고 안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자극을 주면 분비물의 양이 많아지므로 될 수 있으면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24-07-15 |
16448 |
유방질환 |
유즙 분비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이영미입니다. 제가 진료를 보지는 않았지만 생리적으로 나오는 분비물일 것 같습니다. 양성혹들 추적관찰 하시면서 진료보시는 선생님께 물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자극을 주면 분비물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자극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양이 많아지면 진료를 다시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박** |
|
2024-07-09 |
16447 |
유방암 |
학생 왼쪽 가슴 갈비뼈 부위 단단한 촉감이 있습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10대는 유방암일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케이스 레포트 될 정도로 드물고 저는 10대 유방암은 경험한 적이 없어요. 만져지는 멍울로 와도 대부분 암이 아닙니다. 섬유선종 등 양성병변이 있는 경우가 있고 정상 실질이 단단하게 만져지기도 합니다. 생리주기에 따라서도 촉감이 다르고 젊은 여성일수록 유방이 단단하거든요. 초음파는 한 번 봐야 할 것 같긴 합니다. 우리나라 여성은 치밀도가 서양여성에 비해 높아요. 걱정 마시고 진료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류** |
|
2024-07-08 |
16446 |
유방질환 |
유륜 점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제가 점을 보지 못해서 좀 어려운 문제네요. 근처 피부과 진료 가능하시면 진료 한 번 보시고 안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점은 유방질환과 관련이 없어서요. 1cm 이상이 아니라면 보통 지켜보면 되긴 합니다. 커질 수 있지만 대부분 암은 아니구요. 자극주면 커질 수 있으니 자극 피하시구요. 저한테는 내년에 오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박** |
|
2024-07-01 |
16445 |
맘모톰|유방질환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1cm 이하의 총조직검사에서 발견된 비정형세포가 없는 유두종은 제거해도 암이 나올 확률이 1% 이내입니다. 제거 후 비정형 세포가 숨어있는 경우는 있기도 합니다. 10% 이내입니다. 처음 진단된 유두종인 경우에는 맘모톰으로 제거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계속 재발하는 유두종인 경우에는 반복적인 수술보다는 지켜보는 방법을 택하기도 합니다. 맘모톰을 하게되면 흉터가 4mm 정도 남는데 두 개가 떨어져 있지 않다면 1군데만 절개로 가능하고 2개의 혹이 좀 멀리 있다면 2군데 절개하셔야 해요. 진료 보시게 되면 제가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초음파 영상을 확인해봐야 할 것 같아서요. 02-555-6023 전화주시면 예약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4-06-30 |
16444 |
맘모톰 |
맘모톰 관련하여 상담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5cm 양성종양이라면 전신마취 하에 외과적인 절제 수술을 하셔야 합니다. 특히나 엽상종양 가능성이 있다면 3cm 이하이면 맘모톰으로 하셔도 되지만 그 이상은 수술하셔야 해요. 5cm 종양을 맘모톰으로 하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떼고 나서 유방 모양 변형도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술이 오히려 시간이 더 짧게 걸립니다. 5cm 라면 맘모톰보다는 수술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저희는 전신마취 가능하지 않아서 수술이 어렵구요. 대학병원에서 전신마취하에 수술하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아요. 아산 삼성 세브란스, 성모병원에서는 암환자 외에는 진료가 불가능하지만 그 외에 다른 병원들은 다 가능한 걸로 알고 있어요. 잘 치료하시고 나중에 검진하러 오세요. 감사합니다.
|
이** |
|
2024-06-21 |
16443 |
유방질환 |
Category 3ㅡ좌측 유방확대촬영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방 촬영, 유방 초음파 영상 가지고 진료를 한 번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확대촬영 가능합니다. 유방 초음파는 한 번 더 보셔야 합니다. 미세석회화 부위를 초음파로 다시 찾아봐야 합니다. 02-555-6023 전화주시면 가능한 시간으로 외래 잡아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박** |
|
2024-06-20 |
16442 |
유방질환 |
미세석회화 문의 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방 촬영 영상을 가져오시면 미세석회화는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의심스러운 미세석회화가 있을 경우에는 확대촬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단은 유방 초음파 검사를 해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황** |
|
2024-06-12 |
16441 |
맘모톰|유방질환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몽고메리 결절은 건드리면 크기가 증가합니다. 될 수 있으면 자극을 주지 않으시는 게 좋습니다. 뭔가에 자극을 받으면 크기가 커지고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유륜 아래쪽에는 피지낭종도 잘 생겨요. 피부 안쪽에도 생길 수 있구요. 제가 초음파를 보지 않아서 정확한 답변은 어렵지만 초음파상 유방 실질에 문제가 없었다면 유방질환과 관련된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염증이 동반되지 않으면 놔두셔도 되고 옷에 너무 마찰되지 않도록 해주십시요. 불편하다면 짜내거나 수술하셔도 되는데 저는 피지낭은 수술하고 있지 않습니다. 피부 병변을 주로 수술하시는 외과 선생님들도 계신 걸로 알고 있어요. 제가 아는 분이 없어서 도움을 못 드릴 것 같습니다.
|
김** |
|
2024-06-05 |
16440 |
유방질환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모양이 불규칙해서 조직검사를 하였고 유두종양이라고 판명되었습니다. 모양보다도 변화여부가 더 중요하긴 합니다. 모양이 불규칙해도 암이 아닌 혹이 많습니다. 특히나 젊은 여성들은 정상 실질도 불규칙한 경우가 많구요. 나머지 혹들은 제 소견으로는 유두종일 가능성이 낮습니다. 유두종이 비정형 세포가 없다면 암 위험도가 높은 혹은 아닙니다. 총조직검사에서는 비정형 세포가 나오지 않았구요. 비정형 세포가 없다면 유두종은 외과적 절개보다는 맘모톰 수술로 대체가 되었습니다. 크기가 작아 맘모톰으로 깨끗하게 없앨 수 있습니다. 나이가 50세 이상이라면 수술 후 뭔가 숨어있는 경우도 있지만 40세 이하의 여성은 수술 후 암이 숨어있을 확률이 희박합니다.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맘모톰 수술 후에도 판별은 어렵지 않구요. 맘모톰 도입된 수술 초에 여러 시행착오들이 있었고 최근에는 안정된 시술로 자리잡아서 시술 자체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외래로 전화 주시면 맘모톰 날짜 잡아드릴께요. 제거할 거면 6개월 후에 제거하시는 것 보다는 지금 떼어내고 안심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4-06-02 |
16439 |
유방암|유방질환 |
미세석회화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2020년부터 있었던 미세석회화라면 악성석회화보다는 양성석회의 가능성이 높아보이기는 합니다. 촬영 영상을 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초음파상 미세석회화가 보인다면 총조직검사를 해 보고 악성이 아니라면 수술까지는 안하셔도 될 것 같은데요. 총조직검사에서 비정형세포가 보인다면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구요. 외과적 절제수술은 저희 병원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진료 후 제가 다시 말씀드릴께요. 진행이 빠른 질환같지는 않아서요. 이전 영상을 가지고 오시면 제가 확인 후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24-05-30 |
16438 |
맘모톰|유방질환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최종적으로 절개수술 후에 관내유두종 및 비정형 유관 증식증이 나왔다면 잘 치료가 된 것 같습니다. 비정형 유관증식증이 크기를 잴 수 있는 경우에는 몇 mm 이렇게 나오구요. 비정형 유관 증식이 유두종과 동반되어 있을 경우에는 3mm이상이면 상피내암으로 진단됩니다. focal이라는 것은 크기를 잴 수 없을 정도로 너무 작은 경우입니다. 병리조직에서 비정형 세포만 보이는 정도일 거에요. 다른 부위를 수술을 권하셨다고 하면 진료는 바로 보셔도 됩니다. 추적관찰 권하셨다면 추적관찰 시기 맞춰서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진료 시에 대학병원 영상을 가져오시면 제가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4-05-28 |
16437 |
맘모톰|유방질환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수술 시야에서는 만져지는 혹이 아니라면 육안으로 12시, 3시 혹도 정확히 보이지는 않습니다. 초음파로 제거하는 경우에는 초음파에서 혹을 보면서 제거하게 되구요. 보이지 않는 혹은 수술 전에 따로 마킹을 하여 수술 부위를 찾게 됩니다. 다른 부위의 혹은 당연히 확인이 어렵겠지요.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김** |
|
2024-05-20 |
16436 |
유방질환 |
유방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입니다. 1월에 양측 유방 낭종 외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구요. 통증을 일으킬 만한 병변은 없었습니다. 자극을 주면 통증이 호전되지 않으니 될 수 있으면 건드리거나 누르지 않도록 해 주세요. 체중변화, 호르몬 변화, 카페인, 수면부족, 근골격계 자극 등으로 통증이 유발 될 수 있습니다. 유방 통증은 유방질환과 관계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만져지는 멍울이 없다면 다음 생리 끝날 때까지 지켜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물혹이 커지면서 아픈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유방이 붓고 발적이 생길 수 있어요. 이 때는 저한테 오셔야 해요. 한 달 정도만 지켜보시고 계속 아프고 불안하면 진료를 한 번 보시고 안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통증이 심할 때는 소염진통제 복용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 |
|
2024-05-20 |
16435 |
맘모톰 |
유관확장 미세석회증가
답변이 있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8년전이면 총조직검사를 한 번 더 해봐도 되지 않을까요? 총조직검사는 간단히 할 수 있으니 한 번 더 해보고 조직검사 결과 보고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초음파에서 보이지 않는데 석회화 많이 늘었다면 맘모톰으로 조직검사 하시는 게 더 확실할 수 있구요. 이전 영상들을 비교해 보고 초음파 영상을 봐야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영상 가지고 한 번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진** |
|
202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