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75 |
|
갱년기에 좋다는 건강보조식품 복용관련해서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갱년기에 좋다는 건강보조 식품들에는 식물성 여성호르몬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유방은 여성호르몬에 반응하는 기관입니다. 이러한 식물성 호르몬 제재들이 유방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현재도 연구중에 있습니다. 아마씨가 오히려 유방암 예방효과가 있었다는 논문도 있고 혹이 있는 경우에는 혹이 더 커지고 이미 발생된 유방암이 있는 경우에는 진행이 빨라진다는 결과도 있어요. 제 경험상 호르몬제를 복용하여 혹이 안생기시는 분들이 더 많지만 사람마다 여성호르몬에 반응하는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무조건 먹지 말라고 얘기하긴 어렵습니다. 생기는 경우에는 다발성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고 이런 분들은 중단을 권유드립니다. 유방을 보는 임상의사들은 아무래도 혹이 생기는 분들을 많이 보기 때문에 유방만 생각하면 안드시는 게 좋겠습니다만 여러가지 불편한 증상이 있으므로 득실을 고려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증상으로 불편하시다면 일단 호르몬제를 드시고 6개월후 유방초음파 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호르몬제 영향이면 6개월-1년사이에 결절이 생기는 경우가 많고 그 사이에 괜찮다면 1년마다 검진하도록 하십시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최** |
|
2017-03-26 |
15774 |
|
출산한지 1년 유두분비물이 있어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말씀하신 증상으로 보아서는 유즙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뇌하수체에서 프로락틴이라고 하는 젖분비 호르몬이 분비되어 유즙이 나올 수 있습니다. 출산이나 수유후에 젖분비호르몬 수치가 떨어지지 않을경우, 호르몬 교란을 일으킬수 있는 각종 약물들( 위장 보호제 등), 유두자극, 전신질환 등에 의해 유즙이 분비될 수 있습니다. 분비물 나오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나 2015년에 양측 유방에 여러개의 결절이 있었다고 하면 유방검진으로 이 결절들은 다시 관찰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유즙이 아닐 가능성도 있으니 초음파 검사는 받아보셔야 합니다. 한번 방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주** |
|
2017-03-23 |
15773 |
|
문의2
|
지** |
|
2017-03-22 |
15772 |
|
문의 드려요.
|
김** |
|
2017-03-22 |
15771 |
|
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제가 초음파를 본 건 아닙니다만 생리주기 전후에 크기변화가 현저하다면 유방암일 가능성은 낮습니다. 지방과 혈액이 뭉친 것이라면 과오종이나 섬유낭성 변화일 가능성이 높지만 크기가 4cm 로 크니 조직검사는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초음파 사진을 첨부해 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초음파는 시행하는 의사에 따라 소견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형물이 있어도 조직검사는 가능하고 맘모톰은 보형물과 종괴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릅니다. 보형물과 종괴 사이가 가까워 맘모톰 바늘이 들어갈 공간이 충분히 나오지 않는다면 보형물 파열의 위험이 있어 수술로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직검사 결과가 괜찮으면 수술 안하고 지켜볼 수도 있습니다. 한국에 오시는 것은 제가 결정해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많이 불안하시다면 일정을 좀 당겨서 다시 검사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지** |
|
2017-03-19 |
15770 |
|
누워서 팔을 위쪽으로 들면 겨드랑이가 볼록해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사춘기 이후 젊은 여성들에서 겨드랑이에 가장 흔한 멍울은 부유방( accessory breast )입니다. 아마도 체중이 증가하면서 부유방 조직이 같이 커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부유방 외에도 임프절 비대나 근육종 등이 있는 경우가 있어서 초음파 확인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약복용은 안하셔도 됩니다. 한번 방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김** |
|
2017-03-18 |
15769 |
|
맘모톰수술후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맘모톰 수술후에 최종적인 병리조직검사상 방사형 반흔 또는 방사상 반흔 ( radial scar), 경화성 선증( sclerosing adenosis) 이 동반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방사형 반흔은 양성증식성 병변으로 경화성 선증 등 다른 상피증식증과 동반될 수 있습니다. 방사형 반흔이 있으면 그 병변내에서의 유방암 발생 위험도가 2배정도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긴 합니다. ( 전체적인 유방암 발생확률이 아니라 방사형 반흔이 있는 병변을 말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맘모톰을 통해 제거가 된 상태이므로 그 병변에 대한 위험도는 없어진 것으로 봐도 무방합니다. 6개월후 추적초음파 검사를 해봐야 겠지만 잘 제거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에스트로겐 식품을 드시면 유방의 증식성 병변이 생길수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드시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혹이 안생기시는 분들이 더 많지만 병변이 있었던 분들은 호르몬제에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있으니 조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비타민제 외에 다른 건강식품들은 오히려 유방에 증식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6개월이상 장기간 복용은 피하시기 바랍니다. 체중이 늘지 않도록 관리하고 걷기 등의 유산소 운동은 유방암 예방에 효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신** |
|
2017-03-09 |
15768 |
|
모유수유 중인데 멍울이 안 없어지네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모유수유 중이라도 멍울에 대한 평가는 유방초음파로 가능합니다. 제 소견으로는 젖유종( galactocele) 가능성이 높아보이나 다른 종괴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초음파로 확인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단유하실 필요는 없으며 수유는 계속하도록 하시고 병원에 한번 방문해주세요. 초음파는 임신중이나 수유중에도 안전한 검사입니다. 감사합니다.
|
문 |
|
2017-03-08 |
15767 |
|
유두에 조그만 조직이 자라서 덜렁거림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제가 보지 않아서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피부에 생긴 병변일 수도 있고 유방내에서 생긴 병변이 위로 올라온 것일 수도 있습니다. 드물긴 하지만 유두내에 혹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유두주위 유륜에는 피지선들이 풍부하여 이러한 피지선 내의 피지들이 모여 결절을 이루기도 합니다. 관찰해도 되는 경우도 있고 제거하거나 조직검사 해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 번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이** |
|
2017-03-04 |
15766 |
|
어제 조직검사하고 갔는데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제가 기억이 납니다. 물혹은 아니지만 크기도 작고 모양은 나쁘지 않습니다. ( 지금 어제 사진 다시 보았습니다.) 조직검사 안하고 지켜보아도 될 정도이나 임신계획이 있으셔서 제가 조직검사 한 것으로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간혹 떼어야 될 병변이 있긴 하나 암은 절~대 아닙니다. 조직검사 결과 보내고 결과 나오는데까지 3일정도 걸리는데 다음주에 저희 병원이 수요일까지 학회로 휴무입니다. 결과나오면 바로 전화드리겠습니다. ( 병리에 한번 전화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별 |
|
2017-02-24 |
15765 |
|
단유한지 7개월 지났는데 한쪽 유방이 너무 간지러워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모유수유 중단후에도 혈중 프로락틴 수치가 바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짜면 젖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락틴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유즙분비 호르몬으로 임신, 수유시에 젖이 나오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로락틴은 유두자극으로 인해 분비가 증가하므로 젖이 나온다고 해서 수시로 유두를 자극하는 것은 젖을 더 많이 만들게 되는 신호가 되므로 될 수 있으면 유두를 자극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유두 가려움증은 젖나오는 것과 큰 관계가 있을 것 같진 않고 유륜의 피부의 각질이 습기와 반응하여 간지러움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샤워후에 유두주변의 물기를 드라이어로 말려주시고 각질이 생기지 않도록 보습제를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극이 적은 면소재의 브래지어를 착용하고 너무 타이트한 속옷을 착용하지 않도록 하세요. 가려움증이 있을 경우에는 카페인, 인스턴트 식품, 자극적인 음식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가려움증이 계속되면 약한 스테로이드 연고가 도움이 되므로 한번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검진도 겸해서 한번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17-02-22 |
15764 |
|
멍울이 만져져요.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일단 멍울이 만져진다면 유방초음파 검사가 필요하고 검진해보신 기왕력이 없으면 유방촬영을 같이 해야 합니다. 검사시간은 사람에 따라 다른데 대략 15분에서 20분정도 소요됩니다. 초음파 비용은 비급여로 14만원이며 유방촬영을 같이하게되면 1만5천원정도 추가됩니다 초음파상에서 종괴가 발견될 경우에는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시간과 비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유방암의 경우는 출산기왕력이 없는 경우에 위험율이 높아지므로 검진은 꼭 해보셔야 합니다. 금요일에는 야간진료도 가능하니 전화주시고 방문해주세요. 생리와 관계없이 방문하시면 됩니다(검사시 좀 예민해하시는 분들 계시나 검사결과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예약을 하지 않으면 오래 기다리실 수가 있어 가급적 예약을 권유드리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상** |
|
2017-02-15 |
15763 |
|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두를 제가 봐야겠지만 현재는 상처가 남아있을 시기는 아닙니다.( 시간이 오래 경과하였으므로) 이미 유두주위의 상처가 아문 상태에서 유두를 섣불리 건드리면 사춘기 때의 유방발육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현재는 그냥 지켜보는 것이 좋겠으나 불안하시면 한번 방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엄** |
|
2017-02-15 |
15762 |
|
유두 주위의 가려움 증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대학병원에서 초음파를 보셨고 낭종 외에 특이소견이 없었다고 하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유륜주위의 피부가 건조하여 각질이 생기고 각질과 습기가 반응하여 가려움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이 지속되면 피부가 좀 더 두꺼워져서 유두습진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샤워후에 유두 주위를 물기가 없도록 드라이어로 말려주시고 처방된 연고 바르시면 됩니다. 브래지어의 이음새 부분이 유두에 닿지 않도록 하시고 면소재로 된 부드러운 브라를 착용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옷을 너무 타이트하게 입지 않도록 하고 땀이 차지 않도록 해주시면 됩니다. 커피, 인스턴트식품, 자극적인 음식 등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유방초음파는 6개월후에 추적관찰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
|
2017-02-15 |
15761 |
|
부유방..? 겨드랑이 통증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증상으로 보아 부유방 가능성이 높아보이나 다른질환 감별을 위해 초음파 검사는 한 번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본원에서 진료 가능합니다. 전화예약후에 방문해주세요( 02-555-6023) 감사합니다.
|
김** |
|
2017-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