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e4f247bb2e3a318c94095fc986e05c_1598627367_9428.jpg


Total 16,553건 54 페이지
원장님 1:1 상담 목록
번호 진료과목 제목 작성자 문의상태 작성일
15758 진료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이영미 유클리닉은 유방암, 갑상선암 진단 전문병원으로 갑상선에 대해서는 갑상선 결절, 갑상선염이나 갑상선의 구조적 이상, 목 임프절 등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병변이 있을 시에 조직검사나 세포검사를 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검사는 초음파 소견상 갑상선 실질의 이상이 있을시에 시행하고 있지만 기능항진이나 기능저하의 기능적인 문제로 약물치료가 필요할 경우는 내분비내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항진이나 기능 저하증의 경우는  내과적인 질환으로  초음파 검사로 결절유무를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정기적인  피검사를 통해 약물치료를 해야하며 약 용량을 미세하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저희 병원보다는 내분비 내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에서 치료받는 것이 합당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 2016-11-01
15757 급해요. 꼭 답변부탁드려요.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함몰유두가 있을 경우에는 함몰된 유두내에 각질과 피부상재균, 물기와 반응하여 노랗게  분비물이 끼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우에 따라 세균감염으로 유두가 빨개지거나 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두를 짜 보았을 때 나오는 분비물이 없으면 유관내 병변이 있을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함몰유두내의 각질을 때수건으로 반복적으로 제거하면서 피부에 경한 외상이 생기고 딱지가 형성된 것 같습니다.

때수건 등으로 유두를 반복적으로 밀지 마시고  샤워후에 유두를 드라이어로 충분히 말려서 습기를 제거하시고 보습제를 발라 주시면 되겠습니다.

가을,겨울에는 피부가 건조해지므로 각질이 더 많이 생길 수 있고 각질과 습기가 반응하여 가려움증, 분비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유두내의 분비물은 면봉으로 가볍게 닦아내시면 되고 너무 세게 닦아내게 되면 피부의 손상이 발생됩니다.

유방암의 가족력이 있다거나 불안한 증상이 계속되신다면 유방초음파로 유방내 실질을 한 번 검사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한번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 2016-10-31
15756 선생님 하나만 더 여쭤볼께요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말씀하신 증상은 초음파상 유관확장이 있고 확장된 관내에 고여있던 분비물이 강하게 짜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유관확장증은 유두 분비물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초음파상 확장된 관내에 분비물을 일으킬 만한 병변이 없다면 6개월후 추적관찰 하셔도 되겠습니다.

일단 짜내지 마시고 한달에 한번정도 샤워하실때 유두부위만 살짝 짜보시고 나오지 않으면 더 강하게 짜내지는 마십시오.

몇년동안 관내 병변이 없었다면 걱정 안하셔도 되겠습니다. 보통 6개월 간격으로 2년정도 관찰하고 특이소견이 없다면 안심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김** 2016-10-30
15755 유두분비물..유관확장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나오는 분비물로 보아 수유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즙이 나오는 상태인 것 같습니다.

양측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던지 한쪽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던지에 상관없이 젖색깔로 나오는 것은 유방의 원인은 아닙니다.

젖색깔로 나오는 것은 뇌하수체에 있는 젖분비호르몬이 분비되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프로락틴 이라는 젖분비호르몬인데 수유중에는 정상적으로 나오고 수유후에도 지속적으로 나오는 경우가  드물지만 있습니다.

이러한 젖분비호르몬을 분비하는 원인으로는 여러가지 약물, 유두자극, 생리적인 호르몬 변화,전신질환,드물게 뇌하수체 종양이 있을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종양이 있을 경우는 젖분비 외에 두통이나 시력감퇴등 머리쪽과 관련된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다른 동반된 증상이 없다면 머리쪽 원인은 아닐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증상과 병원에서의 검사를 종합하여볼때 현재 유두분비물은 큰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크고 생리적 호르몬 변화나 유두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사료됩니다.

자꾸 짜서 유두를 자극하면 분비물이 더 많아지게 되니 가급적이면 유두자극을 주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 소견으로는 6개월후에 보셔도 문제가 안될 것 같습니다.

초음파 사진을 가지고 오시면 참고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김** 2016-10-30
15754 유두에서 유즙이 나옵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제가 진찰해보진 않았지만 말씀하신 증상으로 유즙분비물이 한쪽에서만 나오고 짜지 않아도 나오며 하나의 구멍에서 나온다고 하면 유즙이 나오는 유관내에 병변이 있을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병적 분비물들은 혈성 분비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유두분비물은 여러가지 약물이나 ,호르몬 변화로 인해 생리적으로 분비되는 경우도 있으니 현재 복용하고 계신 약물이 있는지, 최근 먹기 시작한 건강식품 등이 있는지 다시한번 확인해주세요.

초음파를 이미 하셨고 초음파상에서는 유즙 분비물을 일으킬만한 병변이 없었던 것으로 사료됩니다.

최근의 초음파들은 해상도가 좋아서 작은 유관내 병변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초음파 외에 추가검사는 사실상 많이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초음파는 검사하는 의사에 따라 판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병원에서 시행한 초음파를 가지고 오셔도 제가 다시봐서 확인해야 됩니다. 유방촬영이나 피검사 등은 사진을 가지고 오시거나 결과를 가지고 오시면 생략해도 되나  유방초음파는 검사자에 의존적인 검사이므로 사진을 가지고 오셔도 참고는 되지만 최종적인 결정은 제가 초음파를 다시 보고 판단해야 됩니다.


유두분비물의 95% 는 양성질환이므로 너무 불안해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분비물이 있을 때 일부러 짜내면 분비물이 더욱 많아지게 되므로 짜지 마시고 브래지어에 부드러운 거즈정도만 대고 계십시오. 한달에 한번 정도 샤워할때 유두만 살짝 짜보시고 분비물이 나오는지 확인만 해주세요.

초음파상 이상이 없었다면 3개월후에 오셔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분비물이 짜지 않았는데도 양이 많아지거나 불안한 증상이 심해지신다면 방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박** 2016-10-29
15753 유방미세석회화 4a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장 이영미 입니다.
촬영상 해상도가 낮아 정확한 판단은 어려우나 일단 첨부한 파일로 보아 석회화의 범위가 작고 초음파상에서 이상소견이 보이지 않는 소견인 것 같습니다.

 

미세석회화의 경우는 이전에 촬영한 사진과 비교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판단이 될 수 있으므로 맘모톰 수술한 병원에 유방촬영기록이 있다면 이전 사진과 비교하여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이전에도 있었던 석회화이면 다른 조치를 취할 것 없이 1년마다 정기검진 하셔도 됩니다.


이전에 없었던 미세석회화가 새로생긴 경우라면 맘모톰 수술로 인한 수술후 변화, 섬유낭종성 변화일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상피내암 등의 암초기 병변이 미세석회화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5%이내라도 가능성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유방전문병원에서 초음파를 시행하셨겠지만 초음파상 미세석회의 병변을 찾을 수 없는 경우는 초음파를 통한 조직검사는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수술을 통한 정위생검을 할 것이냐 6개월 간격으로 유방촬영, 초음파를 시행해서 미세석회화 범위가 커지거나 초음파상 병변이 나타났을 때 조직검사를 할 것이냐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다릅니다.

 

다만 병변의 범위가 작아 6개월정도 기다린다고 하여 큰 문제가 생길 것 같진 않으므로 병변이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보통의 경우 6개월 간격으로 2년정도 관찰한 후에 변화가 없다고 하면 이는 조직검사 없이 양성병변으로 판정됩니다.

이경우는 6개월 간격으로 병원에 꼭 방문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www.mybreast.co.kr

이영미유클리닉

하** 2016-10-28
15752 자세한 답변 감사드리면서...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조직검사 하면서 간혹 병변이 근육조직에 인접해 있다면 근육이 건드려질 수는 있으나 신경이 손상되는 일은 없습니다.( 신경은 갈비뼈 사이에 있기 때문에 근육하방까지 들어가지 않는 이상 신경을 건드리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혈종으로 인해 국소적 동통이 있을 수 있고 주위 근육이나 신경을 자극시켜서 팔주위나 어깨, 겨드랑이쪽의 통증도 올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정상면역기능을 가지신 분이라면 염증이 생기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이 부분은 염려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혈종이 아니어도 근골격계질환( 디스크, 어깨관절 병변, 근육통)으로도 유방통 및 팔 저림 등은 보일 수 있겠습니다.

팔저림으로 손가락까지 저리다고 하면 척추디스크 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사무실에 오랜기간 앉아서 팔을 쓰시는 분들이 이러한 증상들을 많이 호소하시기도 합니다.

통증의 원인을 현재 정확하게 짚어내기는 어려울 것 같으나 일단 혈종이 소실되어도 통증이 지속되고,

진통제로도 조절되지 않는 통증이라면 근골격계에 대한 추가 검사(MRI)가 필요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호** 2016-10-25
15751 유방 조직검사후 혈종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결절로 조직검사를 하셨군요. 보통 조직검사는 총검사로 하게되는데 바늘이 일반 주사보다는 좀 굵기 때문에 드물기는 하지만 출혈이나 혈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단 유방결절이 나쁜 병변은 아니라서 다행이네요.

조직검사로 인한 혈종은 혈종이 생긴 범위에 따라 다르지만 소실되는데 2-3달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조직검사로 인해 부종은 생길 수 있으며 이는 1-2주정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 시행한지 25일이나 되셨다면 혈종이 아직 흡수가 안되었을 가능성이 있겠네요.

대부분의 혈종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흡수가 되고 염증이 생기는 경우는 드뭅니다.

혹시라도 이차감염이 생긴다면 유방에 열감이 동반되면서 피부에 발적( 피부색깔이 붉어짐)이 보이게 됩니다. 현재 혈종부위에 발적이 없다면 염증은 아닙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서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하구요.

현재 말씀하신 증상으로는 염증이 생긴 것 같지는 않습니다.

 혈종은 반드시 없어지게 되어 있으니 이것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말씀하신 유방의 통증은 비특이적인 유방통입니다. 조직검사 후에 유방 자체가 예민해진 상태로 유방 전체가 여기저기 돌아가면서 아플 수 있겠습니다.

유방이 예민해진 상태에서 여러가지 신경쓰는 일이 생기거나,과로,카페인섭취, 배란기의 호르몬 변화등과 겹치면서 더 예민해진 것 같습니다.

통증에 대해서는 온찜질, 소염진통제 복용 등으로 대증적 치료 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통증들도 혈종이나 부종이 사라지면서 자연스럽게 소실되리라 생각됩니다.

너무 불안해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유방결절에 대해서는 나쁜 혹이 아니더라도 6개월후에 추적초음파 검사로 다시한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호** 2016-10-24
15750 섬유선종과 식품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시중에서 유통되는 갱년기 증상에 효과가 있다는 여러가지 식품들은 식품내에  여성호르몬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호르몬 성분은 유방내에 결절이나 증식성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마씨나 석류 등에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반응하여 여성호르몬 농도를 낮추어 유방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긴 합니다만 이러한 식물성 호르몬도 과량 복용시에는 어떠한 작용을 보일지 예측되지 않으며 현재 연구중인 단계에 있습니다.

또한 이미 결절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결절이 더 커지거나 이미 유방암이 진단된 환자에서는 종양이 더 빨리 커지는 부작용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갱년기 식품들은 아직 연구중인 단계에 있는 만큼 너무 맹신하여 복용하시기 보다는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의후 필요시 약물로 복용하는 것이 오히려 안전할 수 있겠습니다.

갱년기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섬유선종이 약물복용의 금기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약물을 복용하신다면 6개월후 내원하셔서 결절에 대한 변화 관찰후에 큰 변화 없으시다면 계속 복용하셔도 되겠습니다. 약물을 복용하셔도 결절에 변화를 보이는 분들보다는 변화가 없으신 분들이 더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임** 2016-10-17
15749 피임약복용후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사후피임약이 고용량의 여성호르몬 제재이긴 합니다만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두차례 일시적으로 복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상태로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시적으로 호르몬 변화로 인한 유방통은 있을 수 있겠습니다.

갑상선은 여성호르몬과 관계 없구요.

유방은 여성호르몬에 지속적으로 노출시에 증식성 변화를 보일 수 있으며 유방암 발생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복용은 전문가와 상담후 결정하셔야 하며 지속적으로 피임약을 복용하셔야 한다면 유방초음파 등의 정기검진이 꼭 필요합니다.

현재는 한두차례 복용하신것으로 불안해하실 필요는 없으며 검진 중이시라면 검진시기에 맞춰서 오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궁** 2016-10-16
15748 섬유선종과 임신관련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 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일반적으로 시험관  시술시 시행하는 호르몬 주사는 보통 유방에도 증식성 변화를 일으키게 됩니다.

아무래도 유방은 여성호르몬에 반응하는 내분비기관이고 호르몬이 유방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라고 추정됩니다. 과배란 주사 시술후에 낭종이나 결절이 여러개 생기는 분들이 많기는 합니다.

낭종은 큰 문제가 되진 않지만 섬유선종 등의 양성결절도 경우에 따라 생길 수는 있습니다.

생겼다가 치료가 끝나면 서서히 없어지는 경우도 많구요.

그러나 암이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호르몬 주사가 수년동안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배란을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너무 불안해 마시고 시술에 집중하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현재는 시험관 시술을 하려면 과배란 유도가 필요하므로 호르몬 주사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호르몬 주사나 치료를 받게 되면 6개월정도 후에 유방초음파로 결절이나 이상유무를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유방초음파 검사는 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임신하셨더라도 한번 방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백** 2016-10-12
15747 초음파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원장 이영미입니다

 

유방진료과정-바로가기
초음파 비용은 14만원 내외입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 2016-10-09
15746 점액양 종양 치료방법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에 결절이 있고 조직검사상 점액류 유사종양( mucocele-like tumor) 라고 판명되신 것 같습니다.

점액류 유사종양의 경우에는 때때로 비정형관상피증식증이나 관상피내암, 점액암종 등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맘모톰의 경우는 최소절개창을 이용하여 종양을 여러조각으로 나누어서 적출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혹시라도 내부에 암이 숨어있을 경우는 암의 정확한 크기나 병기설정이 힘들고 맘모톰 수술후에 암이라고 판명되면 수술범위도 처음부터 절개한 수술보다 더 넓어집니다.( 맘모톰 시술부위 포함하여 더 넓게 절제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현재 상태로는 절제수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최근 트렌드는 수술을 하더라도 유방을 최대한 보존하는 쪽으로 변하고 있으므로 너무 걱정마시고 수술 받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 2016-10-05
15745 가슴에 큰혹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작은 혹이 갑자기 커졌다고 하면  기존에 혹이 있고 혹내에서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염증이 생기면 작은 혹이 단기간에 커지면서 혹 내에 염증성 변화로 인해 붓고, 빨개지면서 이것이 지속되면 고름이 차게 됩니다.

고름에 대한 배농 및 항생제 치료가 필요해보입니다.

아울러 혹에 대한 평가도 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유방내 결절 가능성 보다는 피부병변일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너무 불안해마시고 전화예약 후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 2016-10-05
15744 섬유선종에 대한 맘모톰 수술 상담이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20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2.5cm의 종양을 진단 받으셨군요
혈관이 종양을 지나간다고? 맘모톰 수술이 아닌 외과적 수술을 권유 받으셨군요..

조직검사로 섬유선종인지 확인해 보셨는지요?
종양내부에 혈관이 많이 들어가있다면 암의 위험도 있는 종양이구요... 종양이 크기가 크므로 꼭 총조직검사로 암여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조직검사상 섬유선종으로 진단된다면... 맘모톰 수술이 가능하답니다.
단지 서울에 거주하지 않으시니 저희 병원에서 수술을 하실 경우 외래진료를 받으셔야 하고 조직검사도 받으셔야 하구요
또 맘모톰 수술 후 다음날에도 내원하여 진료를 받으셔야 하므로...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 병원진료를 원하시면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진료과정-바로가기

맘모톰 수술-바로가기
감사합니다.
김** 2016-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