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e4f247bb2e3a318c94095fc986e05c_1598627367_9428.jpg


Total 16,588건 55 페이지
원장님 1:1 상담 목록
번호 진료과목 제목 작성자 문의상태 작성일
15778 유방미세석회화 4a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장 이영미 입니다.
촬영상 해상도가 낮아 정확한 판단은 어려우나 일단 첨부한 파일로 보아 석회화의 범위가 작고 초음파상에서 이상소견이 보이지 않는 소견인 것 같습니다.

 

미세석회화의 경우는 이전에 촬영한 사진과 비교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판단이 될 수 있으므로 맘모톰 수술한 병원에 유방촬영기록이 있다면 이전 사진과 비교하여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이전에도 있었던 석회화이면 다른 조치를 취할 것 없이 1년마다 정기검진 하셔도 됩니다.


이전에 없었던 미세석회화가 새로생긴 경우라면 맘모톰 수술로 인한 수술후 변화, 섬유낭종성 변화일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상피내암 등의 암초기 병변이 미세석회화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5%이내라도 가능성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유방전문병원에서 초음파를 시행하셨겠지만 초음파상 미세석회의 병변을 찾을 수 없는 경우는 초음파를 통한 조직검사는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수술을 통한 정위생검을 할 것이냐 6개월 간격으로 유방촬영, 초음파를 시행해서 미세석회화 범위가 커지거나 초음파상 병변이 나타났을 때 조직검사를 할 것이냐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다릅니다.

 

다만 병변의 범위가 작아 6개월정도 기다린다고 하여 큰 문제가 생길 것 같진 않으므로 병변이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보통의 경우 6개월 간격으로 2년정도 관찰한 후에 변화가 없다고 하면 이는 조직검사 없이 양성병변으로 판정됩니다.

이경우는 6개월 간격으로 병원에 꼭 방문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www.mybreast.co.kr

이영미유클리닉

하** 2016-10-28
15777 자세한 답변 감사드리면서...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조직검사 하면서 간혹 병변이 근육조직에 인접해 있다면 근육이 건드려질 수는 있으나 신경이 손상되는 일은 없습니다.( 신경은 갈비뼈 사이에 있기 때문에 근육하방까지 들어가지 않는 이상 신경을 건드리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혈종으로 인해 국소적 동통이 있을 수 있고 주위 근육이나 신경을 자극시켜서 팔주위나 어깨, 겨드랑이쪽의 통증도 올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정상면역기능을 가지신 분이라면 염증이 생기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이 부분은 염려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혈종이 아니어도 근골격계질환( 디스크, 어깨관절 병변, 근육통)으로도 유방통 및 팔 저림 등은 보일 수 있겠습니다.

팔저림으로 손가락까지 저리다고 하면 척추디스크 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사무실에 오랜기간 앉아서 팔을 쓰시는 분들이 이러한 증상들을 많이 호소하시기도 합니다.

통증의 원인을 현재 정확하게 짚어내기는 어려울 것 같으나 일단 혈종이 소실되어도 통증이 지속되고,

진통제로도 조절되지 않는 통증이라면 근골격계에 대한 추가 검사(MRI)가 필요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호** 2016-10-25
15776 유방 조직검사후 혈종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결절로 조직검사를 하셨군요. 보통 조직검사는 총검사로 하게되는데 바늘이 일반 주사보다는 좀 굵기 때문에 드물기는 하지만 출혈이나 혈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단 유방결절이 나쁜 병변은 아니라서 다행이네요.

조직검사로 인한 혈종은 혈종이 생긴 범위에 따라 다르지만 소실되는데 2-3달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조직검사로 인해 부종은 생길 수 있으며 이는 1-2주정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 시행한지 25일이나 되셨다면 혈종이 아직 흡수가 안되었을 가능성이 있겠네요.

대부분의 혈종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흡수가 되고 염증이 생기는 경우는 드뭅니다.

혹시라도 이차감염이 생긴다면 유방에 열감이 동반되면서 피부에 발적( 피부색깔이 붉어짐)이 보이게 됩니다. 현재 혈종부위에 발적이 없다면 염증은 아닙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서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하구요.

현재 말씀하신 증상으로는 염증이 생긴 것 같지는 않습니다.

 혈종은 반드시 없어지게 되어 있으니 이것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말씀하신 유방의 통증은 비특이적인 유방통입니다. 조직검사 후에 유방 자체가 예민해진 상태로 유방 전체가 여기저기 돌아가면서 아플 수 있겠습니다.

유방이 예민해진 상태에서 여러가지 신경쓰는 일이 생기거나,과로,카페인섭취, 배란기의 호르몬 변화등과 겹치면서 더 예민해진 것 같습니다.

통증에 대해서는 온찜질, 소염진통제 복용 등으로 대증적 치료 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통증들도 혈종이나 부종이 사라지면서 자연스럽게 소실되리라 생각됩니다.

너무 불안해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유방결절에 대해서는 나쁜 혹이 아니더라도 6개월후에 추적초음파 검사로 다시한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호** 2016-10-24
15775 섬유선종과 식품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시중에서 유통되는 갱년기 증상에 효과가 있다는 여러가지 식품들은 식품내에  여성호르몬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호르몬 성분은 유방내에 결절이나 증식성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마씨나 석류 등에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반응하여 여성호르몬 농도를 낮추어 유방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긴 합니다만 이러한 식물성 호르몬도 과량 복용시에는 어떠한 작용을 보일지 예측되지 않으며 현재 연구중인 단계에 있습니다.

또한 이미 결절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결절이 더 커지거나 이미 유방암이 진단된 환자에서는 종양이 더 빨리 커지는 부작용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갱년기 식품들은 아직 연구중인 단계에 있는 만큼 너무 맹신하여 복용하시기 보다는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의후 필요시 약물로 복용하는 것이 오히려 안전할 수 있겠습니다.

갱년기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섬유선종이 약물복용의 금기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약물을 복용하신다면 6개월후 내원하셔서 결절에 대한 변화 관찰후에 큰 변화 없으시다면 계속 복용하셔도 되겠습니다. 약물을 복용하셔도 결절에 변화를 보이는 분들보다는 변화가 없으신 분들이 더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임** 2016-10-17
15774 피임약복용후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사후피임약이 고용량의 여성호르몬 제재이긴 합니다만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두차례 일시적으로 복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상태로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시적으로 호르몬 변화로 인한 유방통은 있을 수 있겠습니다.

갑상선은 여성호르몬과 관계 없구요.

유방은 여성호르몬에 지속적으로 노출시에 증식성 변화를 보일 수 있으며 유방암 발생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복용은 전문가와 상담후 결정하셔야 하며 지속적으로 피임약을 복용하셔야 한다면 유방초음파 등의 정기검진이 꼭 필요합니다.

현재는 한두차례 복용하신것으로 불안해하실 필요는 없으며 검진 중이시라면 검진시기에 맞춰서 오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궁** 2016-10-16
15773 섬유선종과 임신관련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 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일반적으로 시험관  시술시 시행하는 호르몬 주사는 보통 유방에도 증식성 변화를 일으키게 됩니다.

아무래도 유방은 여성호르몬에 반응하는 내분비기관이고 호르몬이 유방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라고 추정됩니다. 과배란 주사 시술후에 낭종이나 결절이 여러개 생기는 분들이 많기는 합니다.

낭종은 큰 문제가 되진 않지만 섬유선종 등의 양성결절도 경우에 따라 생길 수는 있습니다.

생겼다가 치료가 끝나면 서서히 없어지는 경우도 많구요.

그러나 암이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호르몬 주사가 수년동안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배란을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너무 불안해 마시고 시술에 집중하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현재는 시험관 시술을 하려면 과배란 유도가 필요하므로 호르몬 주사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호르몬 주사나 치료를 받게 되면 6개월정도 후에 유방초음파로 결절이나 이상유무를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유방초음파 검사는 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임신하셨더라도 한번 방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백** 2016-10-12
15772 초음파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원장 이영미입니다

 

유방진료과정-바로가기
초음파 비용은 14만원 내외입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 2016-10-09
15771 점액양 종양 치료방법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에 결절이 있고 조직검사상 점액류 유사종양( mucocele-like tumor) 라고 판명되신 것 같습니다.

점액류 유사종양의 경우에는 때때로 비정형관상피증식증이나 관상피내암, 점액암종 등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맘모톰의 경우는 최소절개창을 이용하여 종양을 여러조각으로 나누어서 적출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혹시라도 내부에 암이 숨어있을 경우는 암의 정확한 크기나 병기설정이 힘들고 맘모톰 수술후에 암이라고 판명되면 수술범위도 처음부터 절개한 수술보다 더 넓어집니다.( 맘모톰 시술부위 포함하여 더 넓게 절제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현재 상태로는 절제수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최근 트렌드는 수술을 하더라도 유방을 최대한 보존하는 쪽으로 변하고 있으므로 너무 걱정마시고 수술 받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 2016-10-05
15770 가슴에 큰혹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작은 혹이 갑자기 커졌다고 하면  기존에 혹이 있고 혹내에서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염증이 생기면 작은 혹이 단기간에 커지면서 혹 내에 염증성 변화로 인해 붓고, 빨개지면서 이것이 지속되면 고름이 차게 됩니다.

고름에 대한 배농 및 항생제 치료가 필요해보입니다.

아울러 혹에 대한 평가도 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유방내 결절 가능성 보다는 피부병변일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너무 불안해마시고 전화예약 후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 2016-10-05
15769 섬유선종에 대한 맘모톰 수술 상담이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20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2.5cm의 종양을 진단 받으셨군요
혈관이 종양을 지나간다고? 맘모톰 수술이 아닌 외과적 수술을 권유 받으셨군요..

조직검사로 섬유선종인지 확인해 보셨는지요?
종양내부에 혈관이 많이 들어가있다면 암의 위험도 있는 종양이구요... 종양이 크기가 크므로 꼭 총조직검사로 암여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조직검사상 섬유선종으로 진단된다면... 맘모톰 수술이 가능하답니다.
단지 서울에 거주하지 않으시니 저희 병원에서 수술을 하실 경우 외래진료를 받으셔야 하고 조직검사도 받으셔야 하구요
또 맘모톰 수술 후 다음날에도 내원하여 진료를 받으셔야 하므로...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 병원진료를 원하시면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진료과정-바로가기

맘모톰 수술-바로가기
감사합니다.
김** 2016-09-30
15768 겨드랑이 멍울 관련 문의합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나이나 증상을 보아 유방암 가능성보다는 겨드랑이에 흔히 보이는 표피낭종( epidermal cyst)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표피낭종은 겨드랑이에 있는 피지선( sebaceous gland) 에 피지가 고여 생긴 피부병변입니다. 그러나 다른 병변과 감별을 위해 진찰과 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간혹 부유방 조직이나 진짜 혹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표피낭종의 경우는 자꾸 만지면 피부상재균과반응하여  더 커지거나 염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니 너무 불안해하지 마시고 일단 병원에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 2016-09-27
15767 건강검진중 가슴에 종괴발견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 클리닉 이영미 원장입니다.

초음파는 시행하는 의사에 따라서 병변에 대한 판단이 달라질 수 있어 제가 답변드리기가  조심스럽긴 하네요.

초음파상에서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 5mm이내)에는 양성병변과 악성병변이 감별이 쉽지 않아 6개월후에 다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크기가 작더라도 모양이나 형태가 의심스러우면 5mm이내도 조직검사를 하구요. 보통의 경우는 크기가 작은경우  6개월후 추적초음파를 해보고 크기변화나 모양변화가 있다면 조직검사를 하게 됩니다.

그러나 가족력도 있고 불안한 감이 있으시다면 크기가 작더라도 조직검사를 해보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조직검사 시술 자체가 어렵지 않고 병변을 확실히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6개월동안 불안감을 갖고 계시는 것보다는 검사후에 심리적 안정을 취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 2016-09-22
15766 가슴에 물혹과 미세석회화가 있다면 특별한 건강관리가 필요한가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원장 이영미입니다.

 

유방에 낭종( 물혹)은 악성가능성이 없는 병변이므로 문제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혹이 여러개 있을 경우 크기가 작을 때는 감별이 쉽지 않으므로 정기적으로 크기나
모양변화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세석회화도 이미 양성석회화로 판명되었다면
큰 문제가 되진 않겠으나 석회화의 수가 늘어난다거나 석회화 양상이 바뀐다면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유방질환과 관련된 인자로는 고지방, 고칼로리 섭취는 피하시고 과도한 유제품 섭취,
비만 등이 관련이 있으므로 식생활 관리가 도움이 될 수 있고 유산소 운동( 걷기) 이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추적관찰도 중요합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미세석회화 및 물혹 바로가기

유방조직검사 바로가기

 

 

 

 

하** 2016-09-22
15765 유방질문
한** 2016-09-22
15764 겨드랑이 아래 몽울이 잡혀요.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방이나 겨드랑이(액와부)에 멍울이 만져진다면 일단 초음파 검사가 필요해보입니다.

초음파를 보면 실제 혹이 있는지 여부가 금방 감별이 됩니다.

액와부에 뭔가 만져진다면 부유방조직이나 액와임프절이 만져질 수 있고 액와부 하방이면 유방결절이 만져지는 것일 수 있습니다.

다른 증상이 없으시더라도 만져지는 멍울이 있으면 병원에서 진찰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유방초음파-바로가기


문** 2016-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