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e4f247bb2e3a318c94095fc986e05c_1598627367_9428.jpg


Total 16,553건 57 페이지
원장님 1:1 상담 목록
번호 진료과목 제목 작성자 문의상태 작성일
15713 섬유선종 제거 6개월 후 재발
답변이 있습니다.

6개월전 수술했던 결절이

섬유선종이 확실하다면 다시 생긴 혹들도 비슷한 혹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간혹 혈성 분비물을 보이는 유두종이나

다른 양성병변들과 감별이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크기는 작지만 모양이 좋지 않다면 조직검사는 한번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젊은 여성분들의 유방암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고

다른 전암병변들도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반복적인 결절 재발에는 현재 드시고 계시는 피임약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피임약이 여성호르몬 성분이므로

유방의 증식성 병변을 유발할 수 있어 반복적으로 혹이 생긴다면

피임약 복용 외에 다른 방법의 피임을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유두종양-바로가기



홍** 2016-09-02
15712 테스트중입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메일 테스트

테** 2016-09-02
15711 유방
한** 2016-09-02
15710 유방 답변
한** 2016-09-02
15709 유방암예방음식을 알려주세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미입니다
유방암 가족력이 있어서 걱정이시군요.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매년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으로 유방암 검진을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의해야 될 식사법
1. 시판 중인 반찬과 인스턴트 식품만 먹는 식사 습관
2. 양념이 진한 음식을 선호하는 식습관
3. 불규칙한 식생활
4. 과식
5. 잦은 외식


발암을 억제하는 식품 성분

1. 항산화물질 ; 활성 산소의 해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암 발생을 방지하며 손상된 유전자의 복원역할을 한다.
1) 레티놀 ( 비타민 A)
2) 유황화합물 ; 마늘 , 양파 , 무우, 파
3) 카로틴류 ; 당근, 고춧잎, 호박
4) 비타민 C ; 오렌지, 딸기, 레몬, 귤. 감자
5) 비타민 E ; 장어, 아몬드, 올리브유, 옥수수유
6) 폴리페놀류 ; 인삼, 생강, 차, 초콜렛, 차

2. 기타성분; 항산화물질 이외에도 식물성, 동물성 화학 물질에 암 예방효과
1) 키틴, 키토산 ; 새우껍질 ( 동물성 식이섬유라고 할 수 있다. )
2) 클로로필 ; 유전자의 손상을 방지한다.
; 녹색채소
3) 식이 섬유 ; 발암 물질의 배출과 장속의 유익한 세균 증식을 돕는다.
4) 셀레늄
5) 타우린
6) DHA, EPA ; 오메가 - 3
7) 칼슘
8) 터핀류 ; 발암 물질을 무독화하고 발암 유전자 작용억제을 한다.
; 귤껍질
9) 유산균
10) B-글루칸 ;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 영지 버섯, 표고버섯

항암 효과가 기대되는 식품
마늘, 양배추, 감초, 대두, 생강, 당근, 샐러리, 파스닙 >>>

차, 터머린, 양파, 밀알, 아마, 현미, 오렌지, 레몬, 그레이프후르츠,
토마토, 오렌지, 가마, 피망, 브로컬리, 콜리플라워, 감귤류 >>>>

머스크멜론, 배즐, 타라곤, 메귀리, 박하, 오레가노, 오이, 타임,
큰산파, 로즈마리, 세이지, 보리, 딸기류, 버섯류, 해조류, 멜론, 키위


암환자 식사 및 영양 관리
환자의 영양 상태가 좋을수록 항암제 부작용이 적게 나타나며 잘 견딥니다. 충분한 영양 공급이 안되면 면역 기능이 떨어져 쉽게 감염이 될 수 있으며, 항암제 감량 사용으로 치료 효과도 떨어집니다.

1. 항암 치료시 고려 사항

- 평상시보다 열량과 단백질의 필요량이 더 많아지므로 간식의 횟수를 늘리고 식사시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 및 생선 등을 더 많이 먹습니다.
- 수분도 평소보다 더 많이 섭취해야 합니다.
- 식욕이 없을 경우에는 소량씩 나누어서 자주 먹도록 하시고, 적은 양이라도 영양이 풍부하고 열량이 많은 음식을 먹습니다.
- 백혈구 수치가 감소한 경우에는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생선회나 육회처럼 날 것으로 먹는 음식은 삼가 하시고, 빈혈이 있는 경우에는 쇠간, 육류, 푸른 잎 채소를 많이 섭취해야 합니다.

2. 음식의 선택과 조절

- 다양하게 충분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침, 점심, 저녁을 규칙적으로 하며 반찬은 골고루 먹습니다.
- 매끼니 단백질이 함유된 반찬을 충분히 먹습니다.
- 채소 반찬은 매끼니 세가지 이상 충분히 먹습니다.
( 채소마다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무기질의 종류가 다릅니다. )
- 과일은 하루 1-2번, 제철에 나는 과일로 1가지 이상 먹습니다.
- 우유 및 유제품을 하루 1개 ( 250 ml) 이상 마십니다.
- 우유가 잘 받지 않는 경우에는 요구르트, 두유를 마십니다.
- 소금, 고추, 양념 등은 적당히 사용하며 맵지 않고 짜지 않게 먹습니다.


암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권장 사항
1. 육류, 곡물, 야채 등을 편식하지 말고 골고루 섭취한다.
2. 쌀만을 주식으로 하지 말고 면류나 기타 곡물 등으로 보충한다.
3. 소금에 절인 염장 식품을 줄이고 탄 음식을 피한다.
4. 우유나 요구르트를 많이 마신다.
5. 과일이나 녹황색 야채를 많이 섭취한다. ( 비타민과 섬유질 섭취)
6. 너무 맵거나 자극성 있는 음식은 피하고 백설탕 등의 섭취를 줄인다.
7. 곰팡이 핀 음식을 피한다.
8. 적당량의 음주는 별상관 없지만 과음하게 되면 알코올 자체의 위 및 장점막 자극뿐만 아니라 술속에 들어 있는 소량의 유독 물질이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9. 비타민 A, C, E 및 베타 카로틴 등을 적당량 섭취하며, 세레늄 등 미네랄의 섭취를 고려해야 한다.
10. 음식을 천천히, 충분히 씹어 먹는다. 발암 물질도 타액 (침) 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11. 너무 뜨거운 음식을 피한다.
12. 과로나 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한다.
13. 몸을 깨끗이 한다. ( 자궁경부암 예방)
14. 금연한다.

건강하게 오래사는 20가지 방법(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 소개 )
1. 마늘을 하루에 3-6쪽 정도 섭취하라.
2. 적당한 운동을 꾸준히 하라.
3. 정재하지 않은 곡물 섭취를 늘려라.
4.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어라.
5. 패스트 푸드 섭취를 줄여라.
6. 생선을 많이 먹어라.
7. 소금을 적게 먹어라.
8. 적댱량의 와인을 마셔라.
9. 하루 2잔 정도만 커피를 마시고 차를 많이 마셔라.
10. 체중을 줄여라.
11.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라.
12. 담배를 끊어라.
13. 충분한 수면을 취하라.
14.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라.
15. 물을 많이 마셔라.
16. 셀레늄을 많이 섭취하라.
17. 즐거운 긍정적인 사고로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개발하라.
18. 노래를 자주 불러라.
19. 여행을 자주 해라.
20. 배우자를 신중히 선택하라. 
www.mybreast.co.kr
감사합니다.

신** 2016-08-31
15708 다음 번 정기검진 때도 잘 부탁드립니다.
신** 2016-08-29
15707 유두분비물이란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유두분비물이란 유두를 살짝 눌렀을때 유두에서 액체형태로 나오며 종류에 따라 점성도나 색깔은 다를수 있습니다. 짜 보았을때 젖이 나오듯이 갈색이나 노란색의 액체가 나오는 증상입니다. 문의하신 증상은  유두에 각질이 땀, 피부상재균과 반응하여 피지같이 누렇고 하얗게 분비물이 끼어있을 수 있으며 이것은 유두분비물이 아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는 유관확장증 외에 관내에 병변이 없기 때문에 추적관찰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그래도 불안한 증상이 계속된다면 한번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다시한번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 2016-08-24
15706 예약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통화하신대로 예약해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도** 2016-08-22
15705 섬유선종 조직검사 이후 겨드랑이 어깨 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사실 총검사는 바늘 두께가 얇아서 총검사로 인해 2-3일정도 멍이들거나 통증이 있을 수는 있지만 수개월까지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조직검사 후 3개월정도 지났으니 현재의 통증은 총검사와는 관계없다고 봐야합니다.

 겨드랑이나 등쪽의 통증은 매우 흔한 증상입니다.

여러가지 자세 불균형, 근육을 많이 써서 오는 근육통, 체중변화, 카페인,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인 요인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또한 결절이 2개 있다고 하니 불안한 마음이 이러한 통증의 증상으로 나타났을 수도 있습니다.

조직검사상 섬유선종이고 만져지지 않으며 세포변형이나 증식이 보이지 않으면 6개월간격으로 추적관찰 하셔도 됩니다.

유즙은 일부러 짜내지 마시고 유두자극을 줄이시면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계속 나온다 하여도 젖은 유방암과는 연관이 없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프로락틴 높은거나 갑상선염에 대한 것은  수개월후 피검사로 추적관찰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프로락틴 레벨 높은 것이 불안하시다면 내분비내과 방문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최** 2016-08-22
15704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김미혜 원장님은 해외연수 예정으로 진료계획이 없으셔서 제가 병원을 양수받게 되어 대신 답변 드립니다.

군집된 혹이라 하면 섬유낭성 질환이나 다발성 양성결절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암이 아니라고 해도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단순한 섬유낭성 질환이고 조직검사상 세포변형이나 증식이 발견되지 않으면 6개월후 추적관찰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본원에 차트나 영상물이 있으니 타병원에서 시행한 조직검사와 초음파 영상을 가지고 오시면 본원 영상과 비교해 드리겠습니다. 변화없는 결절이면 수술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영미 유외과 예약은 8월 29일부터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를 바라며 전화로 예약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 2016-08-19
15703 진료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김미혜 원장님은 해외 연수 예정이셔서 진료를 보고계시지 않으며 향후 진료계획이 없으신 상태입니다. 2년전에 맘모톰 시술하시고 이후에 검진차 초음파 보시고자 하시면 차트나 영상기록 등은 그대로이니 진료보시는데 어려움은 없을 것 같습니다.

오늘 안내문자로 인해 전화가 많이 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전화번호 남겨주시면 직원한테 예약전화하라고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 2016-08-19
15702 진료문의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원장입니다.

현재 김미혜 원장님은 해외연수 예정이시며 향후 진료계획 등이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죄송합니다만 연락처는 알려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오** 2016-08-15
15701 유관확장증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 원장입니다.

김미혜원장님은 해외연수를 가시게 되어 현재 진료계획 등이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제가 답변을 드리면 유방에 통증이 느껴지는 것(유방통)은 전체 여성의 반 이상이 경험하는 증상으로서 유방암과 연관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유관확장에 의해서도 유방통이 생길 수는 있지만 확장된 관내에 병변이 없으시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관내에 병변이 있다면 대부분 한쪽 유두에서 혈성 분비물이나 노란색의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증은 있으나 만져지는 종괴나 분비물 등의 증상이 없고 초음파 상에서도 이상이 없으셨다면 일단 안심하셔도 됩니다. 다만 가족력이 있기 때문에 불안하신 마음도 큰 것 같습니다. 사촌내에 2명이상이면 6개월 간격으로 검진할 것을 권합니다.




유방에 이상소견이 없을 경우는 유방 외적인 문제에 의한 통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유방 근처 갈비뼈의 통증, 가슴 근육의 통증, 체중증가, 카페인, 스트레스 등 원인이 너무 다양하고 상호작용하여 유방외적인 유방통의 원인은 정확히 알기는 어렵습니다. 통증이 있는 부위를 자꾸 자극을 주면 통증이 더 심해지게 됩니다.( 자꾸 만져본다던가 유방을 압박하는 등)

그래도 불안하시다면 한번 내원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행** 2016-08-12
15700 건강검진 후 조직검사 권유입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 이영미원장입니다.

김미혜원장님은 해외연수를 가시게 되어 향후진료계획이 불투명하여 제가 양수받게 되었습니다.

1.2cm 가량의 결절은 조직검사가 어렵지 않으며 나이를 고려할 때 섬유선종 등 양성결절일 가능성이 더 높겠습니다.

그러나 1cm 넘는 결절은 조직검사로 한번 더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전암성 병변들이 숨어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신** 2016-08-08
15699 콩만한 멍울 만져져요
답변이 있습니다.

이영미 유외과의 이영미 원장입니다.

김미혜원장님은 해외연수로 진료계획이 없으십니다.

일단 유두옆에 콩만한 멍울이고 노란색 분비물이 묻어나오신다면 제 생각으로는 유피 낭종( epidermal cyst) 등의 피부 양성결절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유륜 주위에는 피지선들이( sebaceous gland) 많기 때문에 이러한 피지선에 염증이 잘 생길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이를 고려할 때는 확인차 검사는 한번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방촬영, 초음파)

간혹 피부가까이에 생긴 유방종양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박** 2016-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