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67 |
|
섬유선종 및 낭종에 관하여..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여러개의 섬유선종을 진단 받으셨군요. 젊은 여성들은 양성 종양이어도 호르몬의 영향으로 멍울이 빨리 자랄 수 있고 자라면서 드물게 암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크거나 자라는 멍울은 수술로 제거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맘모톰 수술은 부분마취 하에 상처를 거의 남기지 않고 멍울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멍울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한번에 여러개의 멍울을 수술하실 수 있구요.. 멍울의 크기에 따라 사용되는 바늘 및 시간이 달라 비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술 전 멍울의 크기, 갯수를 정확히 알아야 하므로 수술 전 초음파 검사가 필요하구요, 그 후에 수술상담이 가능하답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리구요.
|
김** |
|
2005-09-13 |
7666 |
|
맘모톰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대학병원에서 조직검사 결과 섬유선종을 진단 받으셨고 여러개의 멍울을 가지고 계셔서 맘모톰 수술을 권유 받으셨군요.. 여러개의 멍울을 모두 조직검사 받으셨다면 6개월 지켜보시다가 자라는 경우 수술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개의 멍울만을 조직검사 하셨거나 멍울의 모양이 자랄 것 같아 선생님께서 맘모톰 수술을 권유 하셨다면 6개월 후 멍울이 너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젊은 여성에서는 양성 종양도 호르몬의 영향으로 빨리 자랄 수 있으니 선생님의 궈유대로 맘모톰 수술을 받으시는 것이 옳을 수도 있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성** |
|
2005-09-13 |
7665 |
|
궁금하네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5세 여성이시고 초음파 검사상 양성 종양을 진단 받으셨군요 유방의 통증은 단순한 호르몬의 영향일 수 있고 종양이 자라나면서 올 수도 있습니다. 초음파검사상 양성 종양이 확실하다고 해도 6개월 후 추적검사상 커질 수 있으니 꼭 추적검사를 받도록 하시구요.. 그쪽 유방에 통증이 계속된다면 6개월 이전이라도 재검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박** |
|
2005-09-13 |
7664 |
|
유두 근처에..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유두 근처에 좁쌀만한 피부의 멍울이 있으시군요. 통증도 있구요.. 유두 근처에는 몽고메리샘이라는 유두 주위릐 윤활유 역할을 하는 샘이 있습니다. 염증이 생기는 경우 고름이 고일 수 있습니다. 양쪽 유륜에 있는 것이라면 너무 걱정하지 마시구요. 한 부위에 통증이 있거나 멍울이 만져지는 경우 진료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최** |
|
2005-09-13 |
7663 |
|
유두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8세 여성이시고 유두가 아프시고 함몰유두도 있으시군요.. 한쪽 유두만 딱딱하게 만져지고 아프시다면 혹시 염증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드물게 유두암일 수도 있으니 증상이 심해진다면 유방전문 병원에서 진료 후 정확한 진단 및 치료 받으세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하구요.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5-09-12 |
7662 |
|
맘모톰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5세 여성이시고 맘모톰 수술 후 붙여드린 반창고가 안 떨어지셔서 걱정이시군요. 억지로 떼지 마세요. 저절로 떨어질때까지 기다리세요.. 상처 속으로 물은 안 들어 가니 안심하시구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김** |
|
2005-09-12 |
7661 |
|
젖을 말린 후 유방통증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6세 여성이시고 수유 후 유선염으로 젖을 말리셨군요... 젖몸살을 앓으신 부위가 아프시군요.. 염증은 금방 좋아지지 않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좋아진답니다. 부위에 통증도 있구요.. 그러나 유방내부에 농양이 있는 경우 젖을 말리는 것만으로는 염증이 완전히 좋아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증상이 계속되시면 초음파 검사로 확인하시고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이** |
|
2005-09-12 |
7660 |
|
죄송합니다. 문의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작은 멍울을 진단 받으셨고 세침흡입술상 양성으로 진단 받으셨지요.. 6개월 추적검사 하셔도 무방하지만 둘째 임신 게획이 있고 불안하시다면 간단히 맘모톰 수술로 멍울을 제거수술하여 정확한 진단 후 임신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년간 추적검사를 하여 멍울의 모양과 크기에 변화가 없어야 양성으로 진단할 수 있는데 그 사이에 임신을 하시게 되면 호르몬의 영향으로 멍울이 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불안해 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맘모톰 수술이 가능하십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자세한 상담 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강** |
|
2005-09-12 |
7659 |
|
섬유선종 때문에..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4세 여성이시고 양쪽 유방에 여러개의 섬유선종을 진단 받으셨군요.. 멍울의 경계가 불분명한것도 있고 멍울이 큰 것도 있다면 이들 멍울부터 제거수술하셔야 합니다. 맘모톰 수술로 한꺼번에 모든 멍울을 제거수술하시는 것은 불가능하며 크기에 따라 여러개를 한 번에 할 수는 있습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빠른 시일안에 예약 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황** |
|
2005-09-12 |
7658 |
|
유두에서하얀피지같은게??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15세 여성이시고 유두가 한쪽이 덜 나오고 분비물이 생기셨군요.. 함몰유두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유방은 18세까지 자라니 조금 기다려 보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정** |
|
2005-09-12 |
7657 |
|
유방암 검사를 할려고합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47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시는군요. 생리 전이라도 유방암 진료는 가능하답니다. 그러나 생리 전이므로 유방촬영술시 유방이 조금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점만 괜찮으시다면 진료 받으셔서 만져지는 멍울의 암여부를 확인하세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유방촬영술 등이 필요하구요. 암이 의심되는 멍울이라면 바로 조직검사를 하실 수 있습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하** |
|
2005-09-12 |
7656 |
|
세포검사후~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세포검사 후 피부가 빨개지셨다구요. 검사 후 멍이 들었을 가능성도 있고 붙여드린 반창고로 인한 간단한 접촉성피부염일 수 있습니다.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치료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정** |
|
2005-09-11 |
7655 |
|
양쪽 가슴이 손으로 만지면 몰옹이 잡혀요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양쪽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시고 통증도 있으시군요. 만져지는 멍울이 정상 유방조직일 수도 있고 종양일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은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하구요.. 계속 불편하시면 555-6023으로 전화주세요. 상담 후 예약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이** |
|
2005-09-11 |
7654 |
|
유두에 문제가 있습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0대 여성이시고 함몰유두에 분비물이 고이고 갈라지셔서 걱정이시군요.. 분비물이 고여있으면 계속 염증이 생기게 되어 함몰유두가 더 심해질 수 있고 염증도 재발이 됩니다. 함몰유두 교정은 성형외과 전문입니다. www.breast.co.kr에 가셔서 상담하세요. 유방전문 성형외과입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정 |
|
2005-09-11 |
7653 |
|
이번 달 초부터 유두가 너무 아파서..
답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3세 여성이시고 유두통이 있으시구요.. 만져지는 멍울이 없다면 생리까지 기다려 보세요.. 그러나 게속 불편하다면 혹시 만져지지 않는 내부의 이상이 있을 수 있으니 진료로 확인해 보세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
고** |
|
200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