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e4f247bb2e3a318c94095fc986e05c_1598627367_9428.jpg


Total 16,517건 877 페이지
원장님 1:1 상담 목록
번호 진료과목 제목 작성자 문의상태 작성일
3377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3세 여성이시고 겨드랑이에 부유방이 잇으시군요. 부유방이란 정상 유방조직이 가슴 뿐 아니라 겨드랑이에도 잇다는 말입니다. 정상적으로 5%의 여성에서 겨드랑이 부유방이 잇을 수 있답니다. 임신, 수유기에 커질 수 있고 가끔 통증도 잇을 수 있구요.. 유방조직에서 멍울이 생기는 것처럼 부유방에서도 멍울이 생길 수 있으니 유방진료 시 함께 진료 받으시면 됩니다. 유방촬영술을 매번 촬영하실 필요는 없답니다. left axilla란 뜻은 좌측 겨드랑이란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정** 2003-12-02
3376 가슴에 딱딱한 것이..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8세 여성이시고 수유 후 젖을 말리고 계시군요.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시구요.. 글쎄요. 만져지는 멍울은 정상 유방일수도 있지만 멍울이 생긴 것인지도 모르겠네요... 전에 만져지지 않으셨다면 혹시 새로운 혹이 생겼을수도 잇으니 게속 불편하시면 유방진료로 확인해 보시구요.. 수유 중에는 젖유종, 선종 등 양성 멍울이 생길 수 있고 아주 드물게 나쁜 암이 생길 수 있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김** 2003-12-02
3375 섬유선종에 대해서,,,질문좀 드릴께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53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2cm정도의 섬유선종이 있다는 진단을 받으셨군요. 전부터 멍울이 만져지셨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새로 생긴 멍울이라면 섬유선종이 확실한지 조직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약 섬유선종이 확실하다면 그리고 증상이 없다면 꼭 수술은 필요치 않습니다. 50대에서는 여성호르몬 분비가 활발하지 않아 양성멍울이 커질 염려는 매우 적습니다. 우선 섬유선종이 확실한지의 정확한 진단 또는 조직검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암의 호발연령이시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김** 2003-12-02
3374 상담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4세 여성이시고 날씨가 차가울때 유두에 심한 통증이 온다구요. 혹시 cold allergy차가운 날씨에 말초 혈관이 심하게 수축하여 통증이 오는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신지요. 유두에만 증상이 잇는지 아니면 다른 손, 발, 얼굴에도 증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최소한 유방암의 증상은 아닌 것 같구요.. 글쎄요... 피부과 또는 내과에 가셔서 진료 받아 보시는 것이 좋겟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김** 2003-12-02
3373 섬유선종 진료절차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2개의 멍울이 있다는 진단을 받으셨군요. 한개는 오래전부터 있으셨구요. 젊으시므로 새로 생긴 멍울도 양성 멍울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새로 생겼으므로 암여부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진료의뢰서는 필요 없구요. 멍울의 위치와 크기만 기억하고 오시면 됩니다. 맘모톰 수술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꼭 수술이 필요한지는 진료 후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최** 2003-12-02
3372 유방확대수술...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0세 여성이시고 8월달에 맘모톰 수술을 하셨군요. 12월에 확대유방수술을 하시고 싶으시구요.. 우선요. 유방에 더 이상의 멍울이나 이상이 있는지 진료 받으신 병원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시구요.. 유방전문 성형외과에서 수술 받으세요. 제가 추천하는 성형외과는 www.breast.co.kr입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김** 2003-12-02
3371 유방확대수술...
김** 2003-12-02
3370 왼쪽 가슴에 약간의 통증이..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3세 여성이시고 유방 한 곳에 통증이 있고 겨드랑이도 아프시구요. 생리 전에 오는 유방통은 여성호르몬의 영향이므로 걱정하지 마시구요. 만약 한 부위가 계속 아프시다면 유방내에 이상 또는 멍울이 있을 수 있으므로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저희 병원에서는 의사를 비롯하여 모든 간호사들이 여성입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이** 2003-12-01
3369 진단부탁드려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생리 전에 유방이 아프고 멍울도 만져지시구요... 생리전에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유방이 붓고 아플 수 있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구요.. 생리 후에도 한 부위가 게속 아프시거나 멍울이 만져진다면 유방진료 받아보세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백** 2003-12-01
3368 혹을 제거해보니 유방암라는데 수술을 빨리 해야 하는지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44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2cm멍울을 수술하셨고 암으로 진단되셨군요.. 멍울 제거 수술 후 유방암수술이 너무 늦게 예약되어 걱정이시군요... 외과적인 수술로 멍울을 제거하셨나보군요.. 그러나 멍울제거수술과 유방절제수술날이 약 1달간격이신 것 같군요. 그 정도면 큰 문제가 안되니 그냥 수술 받으시구요... 40대 여성이면 아무리 양성으로 생각되는 멍울이라도 크기가 크다면 간단한 바늘조직검사로 암여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답니다. 암의 호발연령이거든요. 2cm이라면 1기 또는 2기 정도인 암입니다. 겨드랑이에 전이가 많이 가지 않았다면요.. 좋은 결과 있을 겁니다. 좋은 치료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김** 2003-12-01
3367 섬유선종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6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섬유선종 진단을 받으셨군요.. 조직검사상 섬유선종으로 진단 받으셨다면 생명에 지장이 없는 멍울이므로 걱정하지 마셔도 되구요. 그러나 젊으시므로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멍울이 크게 자랄 수 있으므로 추적검사를 계속 하셔야 합니다. 우선 전에 검사하셨을 때의 멍울의 크기만 기억하시고 내원하시면 됩니다. 진료 시간은 20분 정도 걸리고 결과를 바로 알려드립니다. 금요일 오후 6-8시에 직정여성클리닉이 있으니 그 때 진료 받으시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정** 2003-12-01
3366 확대경 검사가 뭔가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46세 여성이시고 유방검진 상 유방암이 의심되나고 하셨군요... 확대촬영을 권하셨다면 혹시 유방촬영술상 군집된 석회화 소견이 있었는지 모르겠네요. 확대촬영이란 석회화 소견을 확대하여 좀더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군집된 석회화 소견이 있다고 해도 모두 암은 아니랍니다. 아마도 암여부를 알기 위해 조직검사까지 하시게 될 것 같습니다. 차분하게 진료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유** 2003-12-01
3365 종양 판정을 받았습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2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섬유선종 진단을 받으셨구요... 7개월 후에 검사한 결과 멍울이 커지셨다고 조직검사 권유를 받으셨군요... 젊은 여성들은 양성 멍울이라고 해도 여성호르몬이 왕성하여 크게 자랄 수 있답니다. 자라면서 통증을 동반할 수 있구요.. 암의 가능성은 매우 적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구요.. 차분히 진료 받으세요. 3cm이하라면 자라나는 멍울을 맘모톰 수술로 제거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상처가 남지 않고 부분마취로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설** 2003-12-01
3364 멍울이라는게..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19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시는군요. 유방암일 확율은 매우 적습니다.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멍울이 양성 종양일수는 있습니다. 또 젊으시므로 종양이 빨리 자랄수는 있답니다. 유방진료로 확인해 보시구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s** 2003-11-30
3363 가슴통중이 심한데...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6세 여성이시고 유방통이 심하시다구요... 생리 전이 아니시고 한 부위가 계속 아프시다면 유방내에 멍울 또는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방진료로 확인해 보시구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이** 200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