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e4f247bb2e3a318c94095fc986e05c_1598627367_9428.jpg


Total 16,514건 960 페이지
원장님 1:1 상담 목록
번호 진료과목 제목 작성자 문의상태 작성일
2129 유방검사에 관해서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6세 여성이시고 유방에 멍울이 있으시군요. 유방진료로 정확한 진단을 하셔야 하구요.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 그리고 유방촬영술 등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진단을 한 후 수술을 결정해야 할 것 같구요.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상담 후 예약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김** 2003-06-25
2128 젖꼭지에 몽우리가 잡히는데 왜그런거에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고2학생이시고 유두에 멍울이 만져진다구요. 암의 가능성은 극히 적구요. 유두에 멍울은 직접 시진, 촉진을 해 보아야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머니꼐 말씀 드려 유방전문병원에서 진단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X** 2003-06-25
2127 겨드랑이에 멍울이 있어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44세 여성이시고 겨드랑이에 1.7cm의 멍울이 있다는 진단을 받으셨군요. 겨드랑이의 임파절이 1.7cm까지 커진 것은 정상은 아닙니다. 물론 단순한 염증이나 결핵 등의 가능성도 잇으나 드물게 유방에 멍울이 없이 겨드랑이에만 암이 생기는 경우도 있답니다. 너무 걱정은 하지 마시고 조직검사를 꼭 받아보셔야 하구요. 요즘은 수술하지 않고도 부분마취로 바늘총 조직검사 등을 받으실 수 있으므로 유방전문 병원에서 꼭 진료 받으시고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김** 2003-06-25
2126 오른쪽 유두가 너무 가려워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유두가 가려우시다구요. 유두ㅡ 유륜 부위가 붓고 가려운 겨우 아주 드문 경우 유방암일수 있구요. 아니면 습진 및 염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선 유방 내부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구요. 그 후 아무 이상이 없다면 습진, 염증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방진료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2003-06-25
2125 답변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17세 남성이신가요? 유방암이 조기에 발견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수술 후 방사선 치료,항암치료 그리고 방사선 치료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암이 여러 장기에 전이된 경우 예후가 좋지는 않습니다. 5년간 살수 있는 확율이 30% 도 안됩니다. 그러나 아무리 손을 쓰지 못할 정도가 되어도 죽을때까지 희망을 잃지 말고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모든 사람은 언젠가 죽으니까요.. 항암치료, 골수이식 등을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오** 2003-06-25
2124 가슴의 멍울에 대해서...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6세 여성이시고 작년에 섬유선종 수술을 하셨구요. 또 멍울이 만져지시는군요. 유방촬영술을 하시면 유방이 단단하여 멍울을 100% 진단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유방촬영술에서 없다고 해도 멍울이 100% 없지는 않답니다. 멍울이 만져지신다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물론 젊으시므로 유방암의 가능성은 극히 적습니다. 그러나 양성 멍울도 젊은 여성들에서는 크게 자라므로 진단이 필요합니다. 유방진료 받아보시고 안심하세요. 의사의 촉진 초음파 등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이** 2003-06-25
2123 치밀조직 이라고 초음파ㅏ 재검이 나왔는데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8세 여성이시고 유방촬영술상 치밀유방이라고 초음파 검사를 하라고 하셨군요. 치밀유방이란 유방조직이 단단하다는 뜻입니다. 단단한 유방을 가진 여성에서 유방촬영술의 진단정확도는 매우 감소하여 10개의 암 중 4개 정도를 놓칠 수 있답니다. 그래서 초음파 검사를 추가로 하라는 것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초음파 검사를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윤** 2003-06-25
2122 맘모톰수술후 얼마나 있어야..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4세 여성이시고 유방확대수술을 받기를 원하시구요. 유방에 섬유선종이 진단되셨죠. 제가 생각하기에는 맘모톰 수술을 하신 후 확대수술을 하시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맘모톰 수술을 하신 후 1주일 정도는 과격한 운동이 힘드시구요. 간단한 운동은 수술 후 2-3일 후면 가능합니다. 확대수술은 맘모톰 수술 후 2주-1달 정도 후에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섬유선종의 크기, 위치에 따라 회복 정도가 다른데요. 멍울이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2주 후에는 회복 정도에 따라 가능할 수도 있답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김** 2003-06-25
2121 섬유선종진단후 수유에 관하여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섬유선종이 있으셔서 수유 걱정을 하시는 군요. 섬유선종이 잇어도 수유는 가능합니다. 걱정하지 마시구요. 혹시 임신 중에 섬유선종이 커질 수 있답니다. 장밀 양성 섬유선종이 확실한지 크기는 변하지 않았는지 진료 받으신 병원에서 한 번 확인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김** 2003-06-25
2120 혹시나하는 마음에 .......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9세 여성이시고 유방이 단단하고 통증도 있으시군요. 젊은 여성들은 유방조직이 울퉁불퉁하고 단단하여 멍울처럼 만져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멍울이 있는지 정상이지 정확하게 알아보려면 의사의 촉진, 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남** 2003-06-24
2119 다시 신청합니다.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36세 여성이시고 유방진료 신청을 원하시는군요. 주중에 시간내기가 어려우시죠.. 555-6023으로 전화주시면 예약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유** 2003-06-24
2118 조직검사 결과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7세 여성이시고 어머니가 유방에 멍울을 외과적으로 수술하여 조직검사 하셨고 "특수염색"이 필요하다는 말씀을 들었군요,. 물론 맘모톰 수술이나 외과적인 수술로 멍울을 제거하여 현미경으로 확인하면 진단이 정확합니다. 그러나 간혹 현미경으로 진단할 때 어려운 진단도 있답니다. 그런 경우 특수 염색이 필요합니다. 희귀한 염증이나 암인지 아닌지를 진단할 때 특수 염색이 필요한데요. 멍울이 어떤 종류인지 몰라 정확한 상담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조직을 충분히 떼었으므로 조직검사 결과는 정확히 나올 것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차분히 결과를 기다려 보세요. 행운을 빕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박** 2003-06-24
2117 모유양이 현저히 차이나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수유 중이시고 한쪽 유방에서 모유양이 적어 걱정이시군요. 아기가 한쪽 유두가 빨기 힘들어 젖을 먹지 않는 경우 한쪽 유방은 젖이 잘 안만들어 지고 크기도 작아집니다. 유두가 함몰되지는 않으셨는지요? 피부가 빨개지지는 않으셨는지요? 유두 함몰 혹은 염증이 있는 유방은 아기가 잘 빨지 않을 수 있답니다. 살펴보시구요.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거나 빨갛고 열감이 있다면 유방진료 받으시구요. 그런 증상이 없다면 걱정하지 마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이** 2003-06-24
2116 가슴에서 분비물이 나오네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6세 여성이시고 다이어트 중에 유두에서 유즙이 나오시는군요. 혹시 다이어트를 위해 약을 복용하셨는지요> 그 안에 위장약이 들어있을 수 있습니다. 장기간 복용한 경우 유즙이 분비됩니다. 확인해 보시구요. 그렇지 않다면 갑상선기능저하, 뇌하수체 종양 등이 있는 경우도 유즙이 분비될 수 있답니다. 유방진료 받아보세요.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이** 2003-06-24
2115 남자도 유방암 걸리나요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혜입니다. 25세 남성이시고 유방통이 있으신가요? 남자도 매년 50명 정도 유방암에 걸립니다. 전체 유방암의 1%입니다. 유방조직이 만져진다면 일시적인 여성형 유방조직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내부에 멍울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유방진료 받아보시구요. 초음파 검사 등을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김미혜 드림
최** 2003-06-24